공부하는엄마/2024-건설안전기사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3과목 인간공학

몬키키 2024. 2. 15. 13:28
반응형

 

Chapanis 정의한 위험의 확률수준

1)자주:10^-2/day  자이
2)보통:10^-3/day  보삼
3)가끔:10^-4day  가끔사
4)거의 발생하지 않는:10^-5/day
  거의발오
5)극히 발생할 것 같지않은:10^-6/day
  극희 육희
6)전혀 발생하지 않는:10^-8/day  전혀발생 팔

 

*동작경제의 3원칙 
(1)동작능력의 활용의 원칙 

1)발 또는 왼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오른손을 사용하지 않는다. 
2)양손으로 동시에 작업을 시작하고 동시에 끝낸다. 
3)양손이 동시에 쉬지 않도록 함이 좋다. 
 

(2)작업량 절약의 원칙 
1)적게 움직이게 한다. 
2)재료나 공구는 취급하는 부근에 정돈한다. 
3)동작의 수를 줄인다
4)동작의 량을 줄인다
5)물건을 장시간 취급할 경우에는 장구를 사용할 것 
 

(3)동작개선의 원칙 
1)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로 한다. 
2)양손은 동시에 반대의 방향으로, 좌우대칭적으로 운동한다. 
3)관성, 중력 기계력 등을 이용한다. 
4)작업장의 높이를 적당히 하여 피로를 줄인다. 

 

*제조업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 전기계약용량 -300kw이상인 사업 

 

 

*강렬한소음작업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공간적양립성 :표시장치,조정장치 형태(오른쪽 조리대는 오른쪽 조절장치,왼쪽 조리대는 왼쪽 조리장치) 

*양식 양립성:(청각적 자극제시 -음성대답) 

*운동양립성 : 운동방향의 양립성(조정장치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오른쪽으로 이동) 

*개념적 양립성:외부자극에 대한 개념적 현상의 양립성(빨간색:온수, 파란색:냉수) 

 
 

컷셋: 정상 사상을 발생시키는 기본사상의 집합 
미니멀컷셋: 정산사상을 발생시키는 기본사상의 최소집합 
패스셋: 고장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들의 집합 
 
1.컷셋 : 모든 기본 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들의 집합 
2.미니멀 컷 : 정상사상을 일으키기 위한 기본사상의  최소 집합 
3.패스셋 : 시스템의 고장을 일으키지 않는 기본사상들의 집합 
4.미니멀 셋 : 초소한의 패스, 시스템의 신뢰성을 나타낸다 

 

*인간 기계 시스템의 설계 6단계 (목표-시기-계면촉진시험) 

1단계 : 목표 및 성능 설정 

2단계 : 시스템의 정의  

3단계 : 기본설계  

└기능 할당  

└인간 성능요건 명세  

└직무분석 

└작업설계 

4단계:계면(인터페이스) 설계 

5단계:촉진물(보조물)설계 

6단계:시험 및 평가 

 

[시스템의 설계 - 3단계 : 기본설계 내용] 
① 인간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기능 할당 
② 인간성능 요건 명세 
③ 직무분석 
④ 작업설계 

 

#화면설계 

 

*동작경제의 3원칙  

-신체사용의 원칙  

-작업장 배치의 원칙  

-공구및 장비 설계에 대한 원칙  

 

#사용자 요구조건에 대한 원칙 

 

*제조업과 건설업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첨부서류 

[제조업]  

-건축물의 각 층의 평면도  

-기계.설비의 개요를 나타내는 서류 

-기계.설비의 배치도면 

-원재료 및 제품의 취급.제조 등의 작업방법의 개요  

->제조업은 공사개요서 필요 없음  

 

[건설업] 

-공사개요서 

-공사현장의 주변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매설물현황포함)

-건설물,사용기계설비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전체공정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안전관리조직표 

-재해발생 위험시 연락 및 대피방법 

 

*유해 .위험 방지계획서 제출대상 기계. 기구 및 설비  

금속화학건조 /가스제조분진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화학설비 

건조설비 

가스집합 용접장치 

제조 등 금지물질 또는 허가대상물질 관련 설비  

분진작업 관련설비 

 

*인체 계측자료의 응용원칙 중 조절범위에서 수용하는 통상의 범위  

5~95%tile 

 

*시스템 수명주기 단계  

구정개운 -시스템 수명주기는 구정이 되니까 개운하다 

1단계 :구상단계(concept) 

2단계:정의단계(definition) 

3단계:개발단계(development) 

4단계:운전단계(deployment) 

 

*육체작업의 생리학적 부하 측정척도 : 맥박, 산소소비,에너지대사율(RMR),근전도(EMG),폐활 등  

*정신활동의 생리학적 부하 측정척도:부정맥점수,점멸융합주파수,뇌파도 등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평가의 5단계 (관계자료-정성-정량-안전대책-재평가) 

1단계:관계자료의 작성 준비  

-2단계: 정성적평가 

[설계관계]입지조건,공장내배치,건조물,소방설비  

[운전관계] 원재료.중간체.제품.공정.수송.저장 등 .공정기기 

-3단계:정량적평가 

화학설비의 취급물질,용량,온도,압력,조작 a.b.c.d.급으로 분류  

(정성-원중 제공수저) 

(정량-취용온 압조) 

A등급 10점 

B등급 5점 

C등급 2점 

D등급 0점 5항목에 관한 점수들의 합을 구한다.  

등급1:16점 이상,위험도가 높다.  

등급2:15점 이하 ,주위상황,다른설비와 관련해서 평가한다. 

등급3:10점이하 ,위험도가 낮다. 

 

4단계: 안전대책  

설비대책: 안전장치 및 방재장치에 대해 배려한다.  

관리적대책:인원배치,교육훈련 보전 

 

5단계:재평가 

재해정보에의한 재평가 

FTA에 의한 재평가 

 

*FMEA의 장점 및 단점 

장점: 서식이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노력으로 특별한 훈련없이  분석가능 

단점:논리성이 부족,각 요소간의 영향을 분석하기 어렵기때문에 두가지 요소가  

고장날경우 분석이 곤란, 또한 요소가 물체로 한정되어있기때문에 인적 원인을  

분석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인간전달함수(Human Transfer Function)의 3가지 결점 

입력의 협소성 

시점적 제약성 

불충분한 직무묘사 

 

#정신운동의묘사성 

 

*FMEA고장등급의 5가지 요소 

기능적 고장영향의 중요도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고장발생의 빈도 

고장방지의 가능성 

신규설계의 정도 

 

#고장의  영향크기 

 

*FTA의 활용에 따른 기대효과 

-사고원인 규명의 간편화 

-사고원인 분석의 일반화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노력시간의 절감 

-시스템의 결함 진단 

-안전점검표의 작성  

 

*옥내 최적반사율(추천반사율) 

천>벽>가>바  

천장:80~90% 

벽:40~60% 

가구:25~45% 

바닥:20~40% 

 

*공정안전관리 적용대상 사업장  

-원유 정체처리업 

-기타 석유정제물 재처리업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합성수지.기타플라스틱 제조업 

-질소화합물.질소.인산제조업.질소질 화학비료 제조업 

-복합비료 및 기타 화학비료 제조업 

-화학살균 및 살충제 및 농업용 약제 

-화학 및 불꽃제품 제조업 

 

*착석시 작업대 높이 설계시 고려사항 

의자의 높이  

대퇴여유 

작업대의 두께 

작업의 성격  

 

#작업대의 형태  

 

 

*정성적 시각표시장치에 관한 사항  

형태성 

└복잡한 구조 그 자체를 완전한 실체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구조와 어긋나는 특성은 즉시 눈에 띈다

 

*작위실수(commission error) -시선순으로 인해 작위실수 일어남 

-선택착오  

-순서착오 

-시간착오  

#직무누락착오 

 

Human error(인간착오) 의 심리적인 분류  

-생략적에러(omission error):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음 

-시간적에러(time error):필요한 직무.절차의 수행 지연 

-수행적에러(commission error):필요한직무.절차의 불확실한 수행으로 인한 과오 

-순서적에러(sequential error):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순서착오로 인한 과오 

-불필요한에러(extraneous error):불필요한 직무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 인한 과오 

 

*안전성 평가단계 

1단계:관계자료의 작성준비 

2단계:정성적평가 

3단계:정량적평가 

4단계:안전대책 수립 

5단계:재해정보에 의한 재평가 

6단계: FTA에 대한 재평가  

 

*가속수명시험 

-사용조건을 정상사용조건보다 강화하여 적용함으로써 고장발생시간을 단축하고 

검사비용의 절감효과를 얻고자 하는 수명시험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수직진동에 대한 피로 -저감숙달경게 표준중 

내구수준이 가장 낮은범위  

-4~8Hz 

 

*예방설계 개념  

-Fail safe:인간 또는 기계에 과오나 동작상의 실수가 있어도 안전사고를  

발생시키지 않도록2중, 3중 통제  

-Fool proof:사람이 기계.설비 등의 취급을 잘못해도 사고나 재해로 바로 연결안되게 하는 기능 

-Lock out:;어떤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그에 지장을 초래하는 다른장치의 동작을 억제(배제)하는 것 

-Tamper Proof :산업현장에서 생산설비에 부착된 안전장치를 생산성을 위해 제거하고 사용하는 경우 -고의로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경우 대비한 예방설계개념 

 

*은폐현상 

-높은음과 낮은음이 공존할때, 낮은음이 강한 음에 가로막힘으로써 숨겨져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  

-은폐음때문에 피 은폐음의 가청역치가 높아진다

-배경음악에 실내소음이 묻히는 것은 은폐효과의 예시이다. 

-음의 한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한 귀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작용 

-순음에서 은폐효과가 가장 큰것은 음폐음과 배음의 주파수가 가까울때이다. 

 

 

**ECRS : 업무문재를 해결하기 위하여 4가지 관점에서 생각 하는 기법 
제거(Eliminate) 
결합(Combine) 
교환(Rearrange) 
간략화(Simplify) 

 

*병렬시스템 특성

요소의 수가 많을수록 고장의 기회는 줄어든다. 

요소의 중복도가 늘어날수록 시스템의 수명은 길어진다. 

요소의 어느 하나라도 정상이면 시스템은 정상이다. 

시스템의 수명은 요소 중에서 가장 긴 것으로 정해진다

 

시각적 부호의 유형과 내용으로 틀린 것은? 

명시적 부호 - 위험표지판의 해골과 뼈=>묘사적 부호

 

진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인간의 성능은 추적(Tracking)작업이고, 가장 영향이 적은 작업은 형태식별(Pattern Recognition)작업이다 

 

전동 공구와 같은 진동이 발생하는 수공구를 장시간 사용하여 손과 손가락 통제 능력의 훼손, 동통, 마비 증상 등을 유발하는 근골격계 질환은? 레이노드 증후군 

 

A급 : 1 0 점 , B급 : 5 점 , C급 : 2 점 , D급 : 0 점 

위 험 등 급 1   : 16점이상 

위 험 등 급 II  : 11~15 

위 험 등 급 III : 10점이하 

 

다음 중 HAZOP의 전제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이상 발생시 안전장치는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HAZOP 전제조건(원칙) 

 

1) 동일기능의 2가지 이상 기기고장 및 사고는 발생치 않는다 

2) 안전장치는 필요시 정상작동 하는 것으로 한다. 

3) 장치와 설비는 설계 및 제작사양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으로 한다. 

4) 작업자는 위험상황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한다. 

5) 위험의 확률이 낮으나 고가설비를 요구할 시는 안전교육 및 직무교육으로 대체한다. 

6) 사소한 사항이라도 간과하지 않는다. 

 

다음 중 인간공학에 있어 인간-기계시스템(Man-Machine System)에서의 기계가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인간이 만든 모든 것을 말한다.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한 사업주는 건설공사 중 얼마 이내마다 관련법에 따라 유해ㆍ위험 방지 계획서의 내용과 실제공사 내용이 부합하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받아야 하는가? 

6개월 

 

다음 중 수술실내 작업면에서의 조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0000 ~ 20000 럭스 

 

인간-기계시스템 설계의 주요 단계 중 기본설계 단계에서 인간의 성능 특성(human performance requirements)과 거리가 먼 것은? 보조물 설계 

목표 및 성능, 시스템 정의, 기본설계, 촉진물 설계, 평가 

 

아날로그 표시장치를 선택하는 일반적인 요구 사항으로 틀린 것은?

일반적으로 동침형보다 동목형을 선호한다. 동침형선호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 중 조작자 행동 나무(Operator Action Tree) 접근 방법이 환경적 사건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위해 인정하는 활동 3가지가 아닌 것은? 추정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 중 조작자행동나무 접근방법이 환경적 사건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위해 인정하는 활동 3가지: 감지, 반응, 진단 

 

다음 중 FT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FT 작성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정상(Top)사상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정의한다. 
FT 작성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정상(Top)사상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정의한다.  -> 가능한 다수의 하위레벨사상을 포함해야 된다.

 

위험 조정을 위해 필요한 방법(위험조정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위험 확인(confirmation)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결과에 따른 구분ㆍ판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보류 

 

다음 중 고열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대책으로 작업조건 및 환경개선 두 가지 모두 관계되는 요소는? 착의상태

 

다음 중 신호 및 경보등을 설계할 때 초당 3~10회의 점멸속도로 얼마의 지속시간이 가장 적합한가?  0.05초 이상 

 

조종장치를 촉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촉각적 코드화의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피부 자극을 활용한 코드화 

1.     위치코드화 2. 라벨코드화 3. 색깔코드화 
4. 형상코드화 5. 크기코드화 6. 촉감코드화
 
7. 조작방법의 코드화

 

손목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손목관증후군(CTS) 걸릴 수 있는데, 이 증후군은 어떤 신경에 가장 큰 손상이 일어나는 것인가? 정중 신경(median nerve)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기계∙기구 및 설비를 설치∙이전하는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전기용접장치 

 

[유해위험방지계획서]

1.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2. 화학설비
 
3. 건조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5. 허가대상, 관리대상 유해물질 및 분진작업 관련설비
 

 

 VE(Value Engineering) 활동으로 각 분석항목에 대한 안전성과의 관계를 잘못 연결한 것은

①     재료 - 불량률  =>생산과 관련있음

 

시성능기준함수(VLB)의 일반적인 수준 설정으로 틀린 것은? 

 언제, 시계 내의 어디에 과녁이 나타날지 아는 경우이다. 

○ 조명수준의 판단 기준 - 시성능기준함수 
1. 현실상황에서 가시 역치 보다는 좀 더 높은 수준의 조명이 적절하다.
 
2. 표적 탐지 활동은 50%에서 99%이다.
 
3. 표적은 정적인 과녁에서 동적인 과녁으로 한다.
 
4. 언제, 시계 내의 어디에 과녁이 나타날지 모르는 경우이다
 

 

★★ 중이 이소골(ossicle)이 고막의 진동을 내이의 난원창(oval window) 전달하는 과정에서 음파의 압력은 어느 정도 증폭되는가? 

22

 

다음 중 설명 중 ㉠과 ㉡ 해당하는 내용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예비위험분석(PHA)의 식별된 4가지 사고 카테고리 중 작업자의 부상 및 시스템의 중대한 손해를 초래하거나 작업 자의 생존 및 시스템의 유지를 위하여 즉시 수정 조치를 필요로 하는 상태를 ( ㉠ ), 작업자의 부상 및 시스템의 중대한 손해를 초래하지 않고 대처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 ㉡ )(이)라 한다. 

 
㉠-중대, ㉡-한계적 

 

인간 오류에 관한 설계기법에 있어 전적으로 오류를 범하지 않게는 할 수 없으므로 오류를 범하기 어렵도록 사물을 설계하는 방법은?

예상설계(prevent design) 

 

Weber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은 낮아진다. =>높아진다.

 

조사연구자가 특정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상황에서 실시할 것인가를 선택하여야 한다. 즉, 실험실 환경에서도 가능하고, 실제 현장 연구도 가능한데 다음 중 현장 연구를 수행했을 경우 장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일반화가 가능

 

 간헐적인 페달을 조작할 때 다리에 걸리는 부하를 평가하기에 가장 적당한 측정 변수는? 
근전도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의 개발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사항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교육훈련을 시작한다. 

=>교육훈련은 생산단계에서 시작

 

시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도로변의 물체를 보는 경우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녁 이동 

 

다음 중 FMEA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서식이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FMEA 장점 
서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단점 
논리성이 부족 
동시에 두 가지 요소가 고장날 경우 분석이 곤란 
요소가 물체로 한정도어 있기 때문에 인적원인을 분석하는데는 곤란 
 

다음 중 청각적 표시의 원리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분리성(dissociability)이란 주의신호와 지정신호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을 말한다. 

분리성이란 주의신호와 지정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나타낸다. 
 

다음 중 60~90Hz 정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신진동 장해는? 

안구 공명 

 

20~30hz : 머리 
60~90hz : 안구 

 

억제게이트

 

재해예방 측면에서 시스템의 FT에서 상부측 정상사상의 가장 가까운 쪽에 OR 게이트를 인터록이나 안전장치 등을 활용하여 AND 게이트로 바꿔주면 이 시스템의 재해율에는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겠는가? 재해율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한다. 

 

다음 중 FTA(Fault Tree Analysis)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것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것은 연역적이다.

 

결함수분석법(FTA): 
- 연역적 방법이다.
 
- 하향식 방법(Top-Down)을 사용한다.
 
-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을 논리기호를 사용하여 해석한다.
 
- 짧은 시간에 특정 사상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다.
 
- 재해의 정량적 예측이 가능한 분석법이다.
 
- 비전문가도 잠재위험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서서하는 작업대의 높이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야한다. 
정밀작업은 팔꿈치 높이보다 5~20센치높게 
경작업은 팔꿈치 높이보다 5~10센치 낮 
중작업은 팔꿈치 높이보다 15~20센치 낮게. 

 

Fitts 법칙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소음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소음의 분배 

 

안전·보건표지에서 경고표지는 삼각형, 안내표지는 사각형, 지시표지는 원형 등으로 부호가 고안되어 있다. 이처럼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이를 사용자가 배워야 하는 부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임의적 부호

 

FMEA에서 고장의 발생확률

B = 1  실제손실방생 
0.1< B < 1 실제손실이 예상 
0 < B < 0.1 손실 발생의 가능성이 있음 
B = 0 손실영향 없음 

 

인간-기계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설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때 제3단계인 기본설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화면 설계->4단계 인터페이스설계 항목

 

진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인간의 성능은? 추적(tracking) 능력

 낮은 진동수에서 더 심하게 손상됨

 

정신작업의 생리적 척도가 아닌 것은? EMG -근전도 

심전도(ECG):심장 
근전도(EMG):근육 
뇌전도:(EEG):대뇌피질 
안전도(EOG):안구운동 
전기피부반응(GSR)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단계 중 “관계 자료의 작성준비”에 있어 관계 자료의 조사항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온도, 압력 

온도, 압력은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 단계 중 3단계인 정량적평가의 조사항목에 해당 

 

인간공학 연구방법 중 실제의 제품이나 시스템이 추구하는 특성 및 수준이 달성되는지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은 어떤 연구에 속하는가? 

평가연구 

 

*인간공학 연구방법 : 묘사 실험 평가

1. 묘사(Descriptive): 인간기준을 이용한 현장 연구 
2. 실험(Experimental): 작업 성능에 대한 모의 실험
 
3. 평가(Evaluation): 제품이나 시스템이 추구하는 특성과 수준이 달성 되는지를 비교, 분석

 

소음에 의한 청력 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대는? 

4000Hz 

 

단순반복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건강장애 즉, CTDS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긴작업주기

 

착석시 작업대의 높이 설계를 할 경우에 고려해야 할 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 

작업대의 형태

 

기업에서 보전효과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요소를 잘못 나타낸 것은? 

설비고장도수율 = 설비가동시간/설비고장건수 

 설비고장도수율설비고장건수/설비가동시간 

 

설비보전에서 평균수리시간의 의미로 맞는 것은? MTTR 

MTBF - 평균 고장 간격 
MTTF - 고장이 일어나기까지의 동작시간 평균치
 
MTBP – X

 

시스템이 저장되어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이 기능이나 과업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춘 위험분석 차트는? 

운용위험분석 (OHA : Operating Hazard Analysis) 

 

자동화시스템에서 인간의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조정 장치로 기계를 통제 

조종장치로 기계를 통제하는 것은 기계화 시스템

 

통화이해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각 옥타브(octave)대의 음성과 잡음의 데시벨(dB) 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계를 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명료도지수

 

일반적으로 보통 작업자의 정상적인 시선

수평선을 기준으로 아래쪽 15° 정도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설비보전방식의 유형은? 

보전예방 보전예방 : 보전할 일을 예방한다

 

사후 : 고장난후 수리보전 
개량 : 고장난 후 부품개선설계변경  
보전예방 : 설비계획이나 설치시 부터 고장이 없게 설비하는 보전 
일상보전 : 고장전 게획적 수리로 성능유지 

 

근섬유의 직경이 작아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장시간 지속시키고 피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것 골격근의 근섬유는 무엇인가? TypeS 근섬유 

TypeS : Slow 지근 장거리 선수 
TypeF : Fast 속근 단거리 선수
 

 

컷셋과 패스셋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에서 최소 컷셋의 개수가 늘어나면 위험 수준이 높아진다.

 

위험관리 단계에서 발생빈도보다는 손실에 중점 두며, 기업 간 의존도, 한 가지 사고가 여러 가지 손실을 수반하는 것에 대해 유의하여 안전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위험의 분석 및 평가 단계 

인간공학의 정의

인간의 특성과 한계 능력을 분석, 평가하여 이를 복잡한 체계의 설계에 응용하여 효율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문분야 

 

위험도분석(CA, Criticality Analysis)에서 설비고장에 따른 위험도를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생명의 상실로 이어질 염려가 있는 고장의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① category  

category 1 : 생명 또는 가옥의 상실 
category 2 : 작업수행의 실패
 
category 3 : 활동의 지연
 
category 4 : 영향없음
 

 

 

원래의 신호 정보를 새로운 형태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은 어떤 것의 정의인가? 
코딩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소음문제의 음원에 관한 대책아닌것 

방음 보호구를 착용한다. 

방음 보호구 착용은 소음원에 대한 대책이 아니라 작업자의 대책 

 

A회사에서는 새로운 기계를 설계하면서 레버를 위로 올리면 압력이 올라가도록 하고, 오른쪽 스위치를 눌렀을 때 오른쪽 전등이 켜지도록 하였다면, 이것은 각각 어떤 유형의 양립성을 고려한 것인가? 
레버 - 운동양립성, 스위치 - 공간양립성 

 

[개념적 양립성] 
- 외부자극에 대해 인간의 개념적 현상의 양립성
 
   ex) 빨간 버튼은 온수, 파란버튼은 냉수
 
 
[공간적 양립성]
 
- 표시장치, 조종장치의 형태 및 공간적 배치의 양립성
 
   ex) 오른쪽 조리대는 오른쪽 조절장치로, 왼쪽 조리대는 왼쪽 조절장치로 조정한다.
 
 
[운동의 양립성]
 
- 표시장치, 조종장치 등의 운동 방향의 양립성
 
   ex) 조종장치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표시장치 지침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사업장에서 인간공학의 적용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설비의 고장률 

 

인간공학 적용분야 
1. 제품설계
 
2. 재해,질병 예방
 
3. 장비,공구,설비의 배치
 
4. 작업공간 설계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제조업 등 유해ㆍ위험 방지계획서를 작성하고자 할 때 관련 규정에 따라 1명 이상 포함시켜야 하는 사람의 자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실시하는 관련 교육을 8시간 이수한 사람 

 20시간 이상 이수한 사람 중 1명 이상을 포함시켜야 한다. 

관련분야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서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고등교육법 따른 대학 및 산업대학(이공계 학과에 한정한다)을 졸업한 후 해당 분야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또는 고등교육법 따른 전문대학(이공계 학과에 한정한다)을 졸업한 후 해당 분야에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신체의 변화로 맞는 것은? 

혈소판이나 혈액응고 인자가 증가

더 많은 산소를 얻기 위해 호흡이 빨라진다

중요한 장기 뇌.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증가한다.

상황판단과 빠른행동대응을 위해 감각기관은 매우 예민해진다.

 

작업공간의 포락면(包絡面) 대한 설명 

작업의 성질에 따라 포락면의 경계가 달라진다. 

 
*포락면 : 한 장소에 앉아서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 

#개인이 그 안에서 일하는 일차원 공간1이다 

#작업복등은 포락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장 작은 포락면은 몸통을 움직이는 공간이다. 

 

작업설계(job design) 시 철학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작업만족도(job satisfaction)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작업감소(job reduce) 

 

원자력 발전소 운전에서 발생 가능한 응급조치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조작자가 표지(label)를 잘못 읽어 틀린 스위치를 선택하였다. -실행에러(commission error) 
     2.  조작자가 극도로 높은 압력 발생이후 처음 60초 이내에 올바르게 행동하지 못하였다.-실행에러(commission error) 
 

 

     3.  조작자는 절차서 단계 중 마지막 점검목록인 수동 점검 밸브를 적절한 형태로 복귀시키지 않았다. -생략에러(omission error) 
     4.  조작자가 하나의 절차적 단계에서 2개의 긴밀하게 결부된 밸브 중에서 하나를 올바르게 조작하지 못하였다. -실행오류(commission error) 
 

 
 

phon 의한 음량수준  

-1db:1phone   

-1SONE : 1,000hz에서 음압이 40DB 인 순음의 크기

 

*FTA 의한 재해사례 연구 

1단계: 톱(TOP)사상의 선정 

2단계:사상의 재해원인의 규명 

3단계:FT도의 작성  

4단계:개선계획의 작성  


수정기호의 종류  

*우선적 AND 게이트 : 입력사상 가운데 어느 사상이 다른사상보다 먼저 일어났을때 출력사상생긴다. 

*조합(짜맞춤) AND 게이트 : 3개 이상의 입력사상 가운데 어느것이든 2개가 일어나면 출력사상이 생긴다. 

*위험지속기호:결함수에서 입력사상이 생기고, 일정한 시간이 지속될때 출력이 생기고  

만약에 그 시간이 지속되지 않으면 출력이 생기지 않는다

*배타적 OR게이트 : 결함수의 OR게이트이지만 2개또는 그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출력이 생기지 않는다. 

 

위험성 평가

 

조작과 반응과의 관계, 사용자의 의도와 실제 반응과의 관계, 조종장치와 작동결과에 관한 관계 등 사람들이 기대하는 바와 일치하는 관계가 뜻하는 것은? 양립성 

 

조도물체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

 

안정성평가(safety assessment)절차 안전대책 단계  

설비적대책(안전장치 및 방재장치) 

관리적대책(인원배치,교육훈련 및 보전) 

보전 

 

#위험도평가 

 

[실효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온.습.공(온도.습도.공기유동) 

#복사열 

 

[인간공학의 연구방법] 

*평가연구: 실제 제품이나 시스템이 추구하는 특성 및 수준이 달성되는지  

비교분석하는 연구  

 

웨버의 법칙

#피츠의법칙: 사용성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에서 대해 도와 정확성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법칙 
시작점에서 목표로 하는 지역에 얼마나 빠르게 닿을 수 있을지를 예측 

 

*작업공간의 배치의 원칙  

기능성원칙 

사용빈도원칙 

사용순서의 원칙 

중요도의 원칙 

 

#사용방법의 원칙 

 

 

*인체측정자료 장비.설비 등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응용원칙  

조절식 설계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