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거]
항만하역작업시 통행설비 설치
사업주는 갑판의 윗면에서 선창 밑바닥 까지 깊이가 1.5m 초과하는 선창의 내부에서
화물취급작업하는 경우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설비 설치
[비계]
이동식비계 조립 및 사용 시 준수사항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는다.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을 위한 거리가 부족할 경우에는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할 것
==>작업발판에서 사다리나 ,발판은 사용금지
강관틀비계 조립
길이가 띠장방향으로 ( 4)미터 이하이고 높이가 ( 10 )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 10 )미터 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
강관 비계 구성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방향 1.5m 이상 2.0 m 이하 =1.85m이하
장선방향에서는 1.5m이하
31m되는 지점 밑부분 비계기둥 2개의 강관으로 묶어세울것
비계기둥간 적재하중은 400kg초과하지 않을것
강관틀비계 안전기준
1.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2. 길이가 띠장방향으로 4m이하이고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을 1.8m 이하로 할 것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 설치
단관비계는 수직, 수평 둘 다 5m
틀비계는 수직 6m / 수평 8m 임.
달비계 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
20cm,틈새x
달비계 40cm,틈새 없도록 할것
달비계 중 5m이상 작업발판 폭 20cm이상 ,틈새 없음
작업발판 40cm ,틈 3cm이상
└달비계는 무조건 틈새 없고, 작업발판 3cm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통로 구조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한다.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 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한다.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cm 이상 올라가도록 한다.
폭은 30cm 이상으로 한다.
사다리 통로 기울기 75도, 고정식 사다리 통로 기울기 90도
7미터 이상인경우 바닥으로부터 높이 2.5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 울 설치
- 달비계 40cm
- 작업발판이 40cm
- 사다리 통로 폭 30cm
- 가설통로 폭 40cm
달비계(곤돌라의 달비계는 제외)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
달기 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 :10이상 ★ ★
달기 체인 및 후크 :5이상
달기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지점의 안전계수
목재의 경우: 5 이상
강재의 경우: 2.5이상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양중기의 와이어로프이므로 안전계수는 5이상
안전계수 = 절단하중/ 최대사용하중
최대사용하중(허용하중) = 절단하중/안전계수 = 절단하중/5
시스템 비계구조
비계 밑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겸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3분의 1이 이상이 되도록 할것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작업발판을 설치할 경우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업발판의 폭은 30cm 이상으로 한다. -->40센티 미터 이상.
발판재료간의 틈은 3센티 미터 이하
추락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2개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킨다.
-----------------------------------------------------------------------------------------------
투하설비설치
사업주는 높이가 3m인 장소로부터 투하할때 투하설비 설치하거나 감시인 배치
터널공사의 전기발파작업에 관한 설명
전선은 점화하기 전에 화약류를 충진한 장소로부터 30m 이상 떨어진 안전한 장소에서 도통시험 및 저항시험을 하여야 한다.
점화는 충분한 허용량을 갖는 발파기를 사용하고 규정된 스위치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한다.
점화는 선임된 발파책임자가 행하고 발파기의 핸들을 점화할 때 이외는 시건장치를 하거나 모선을 분리하여야 하며 발파책임자의 엄중한 관리하에 두어야 한다.
발파 후 즉시 발파모선을 발파기로부터 분리하고, 그 단부를 절연시킨 후 재점화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발파 후 발파기와 발파모선의 연결을 유지한 채 그 단부를 절연시킨 후 재점화가 되지 않도록 한다.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설명
포화도 : 포화도가 클수록 투수계수도 크다.
공극비 : 공극비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크다.
유체의 점성계수 : 점성계수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작다.
유체의 밀도 : 유체의 밀도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크다.
거푸집동바리등을 조립 또는 해체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사항
1.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달포대 등의 사용하도록 할것
2.낙하·충격에 의한 돌발적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목을 설치하고 거푸집동바리 등을 인양장비에 매단 후에 작업을 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할 것
4.해당 작업을 하는 구역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할 것
압쇄기를 사용하여 건물해체시 해체 순서
슬 보 기 벽
슬래브-보-기둥-벽체
말뚝 절단할때 내부응력에 가장 큰 영향 받는 말뚝
pc말뚝
근로자의 추락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의 설치기준
-발끝막이판 바닥면으로부터 10cm 이하 높이 유지
-난간대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강도 있는 재료
-안전난간 구조적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 100kg 이상 하중 견디는 튼튼한 구조
* 건물외부에 낙화물 방지망 수평면 각도
내민길이 2m이상 높이 10m마다 설치
- 수평면과의 각도는 20° 이상, 30° 이하 유지
* 파이프서포트 설치높이 기준 높이 3.5m 초과시 높이 2m이내 마다 수평연결재 2개방향 연결
파이프 서포트 3개이상 x
파이프 서포트 4개이상의 볼트. 전용철물 사용
*항타기.항발기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3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일반공사(갑)
5억미만 : 2.93%
5억~50억미만 : 1.86% (5,349,000원)
50억이상 : 1.97%
○일반공사(을)
5억미만 : 3.09%
5억~50억미만 : 1.99% (5,499,000원)
50억이상 : 2.10%
*50억원 이상 공사종류 산업안전관리비 계상기준
-일반건설공사(갑) : 1.97%
-일반건설공사(을) : 2.10%
-중간건설공사 : 2.44%
-철도.궤도신설공사 : 1.66%
-그밖의 건설공사 :1.27%
가설계단. 계단참 매 m2당 몇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
500kg
안전율 4
계단폭 1m 이상
높이가 3m 초과하는 계단은 높이 3m마다 너비 1.2m 이상의 계단참 설치
크레인의 운전실 또는 운전대를 통하는 통로의 끝과 건설물 등의 벽체의 간격
0.3m
강풍에 의한 충압.외압 철골구조물 설계 확인
구조물 높이 1:4 이상
현장용접(#이음부가 공장제작)
높이 20m 이상
단면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구조물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지주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75°
[운전중지할때]
타워크레인 작업중지 기준
설치,점검,수리,해제 작업시 10m/s
운전작업중지 15m/s
철골작업 중지조건
풍속이 10m/s 이상인 경우
강우량이 1mm/h 이상인 경우
강설량이 1cm/h 이상인 경우
옥외에 설치되어있는 주행크레인 -이탈 방지 조치 순간풍속
순간풍속이 초당 30m를 초과하는 바람이 불어올 우려가 있는 경우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속도 기준은?
최대 제한 속도가 10km/h 이하
[계측기설치목적]
지표침하계 -지표면 침하량 측정
수위계 -지반내 지하수위 측정
하중계 -실제 축 하중 변화(#상부적재하중변화)
지중경사계- 지중 수평변위량 측정
① 건물경사계(Tilt meter) = 지상 인접 구조물의 기울기 측정.
② 지표면 침하계(Level and staff) = 주위 지반에 대한 지표면의 침하량 측정.
③ 지중경사계 (Inclino meter) = 지중 수평 변위를 측정하여 흙막이의 기울어진 정도 파악
④ 지중침하계 (Extension meter) = 지중 수직 변위를 측정하여 지반의 침하정도 파악
⑤ 변형률계(Strain gauge) = 흙막이 버팀대의 변형 정도 파악.
⑥ 하중계, 로드셀(Load Cell) = 수압 측정용 장비, 흙막이 버팀대에 작용하는 토압, 토류벽 어스앵커의 인장력 등을 측정.
⑦ 토압계(Earth pressure meter) = 흙막이에 작용하는 토압의 변화 파악
⑧ 간극수압계 (Piezometer) = 굴착에 의한 지반내의 간극수압의 증감을 측정하여 지반의 안전성을 파악하므로써 시공속도를 조절하고, 토류구조물의 안전성을 검토
⑨ 지하수위계(Water level meter) = 지하수의 수위변화 측정
[안전대의 종류]
* 벨트식, 안전그네식 = U자걸이 전용, 1개걸이 전용
* 안전그네식 = 안전블록, 추락방지대 / 와이어로프 지름 : 4mm 이상 (안사)
추락방지대 - 와이어로프 지름 8mm (추팔)
중량물을 운반할 때의 바른 자세
물건을 들어 올릴 때는 팔과 무릎을 사용하여 척추는 곧은 자세로 한다(허리를 구부려서는 안 된다)
중량은 보통 체중의 40%가 적당하다
물건은 최대한 몸에 가까이 해서 들어 올린다
길이가 긴 물건은 앞쪽을 높게 하여 운반한다
직선운반을 할것
부두·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서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90 cm
구조검토 : 1. 하중계산 2. 응력계산 3. 단면, 배치간격 계산
현문사다리 설치기준 선박 : 300톤급 이상
현문 사다리는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너비는 55cm 이상이어야 한다.
현문 사다리의 양측에는 82cm 이상의 높이로 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현문 사다리는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화물용 발판 또는 화물용 보판으로 사용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
안전계수=인장강도/최대허용응력
4=2000/최대허용응력=500
[문제외우기]
흙막이벽 근입깊이를 깊게하고, 전면의 굴착부분을 남겨두어 흙의 중량으로 대항하게 하거나, 굴착예정부분의 일부를 미리 굴착하여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대책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히빙현상이 있을 때
히빙 방지대책
- 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
- 표토제거 하중감소
- 지반개량
- 굴착면 하중증가
- 어스앵커설치 등
<문제 해설>
흙막이벽 근압깊이를 크게하는 건 히빙, 보일링 현상을 줄이고
흙의 중량을 이용하거나, 더 올라오지 않게 하는 거니까, 히빙
작업장 출입구 설치 시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된 목적이 하역운반기계용인 출입구에는 보행자용 출입구를 따로 설치하지 않는다.
주된 목적이 하역운반기계용인 출입구에는 인접하여 보행자용 출입구를 따로 설치할 것
법면 붕괴에 의한 재해 예방조치
지표수와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한다
추락 재해방지 설비 중 근로자의 추락재해를 방지 할 수 있는 설비로 작업발판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 필요한 설비는?
추락방호망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에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안전통로 및 조도 확보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유도하는 사람 배치
갓길의 붕괴 방지 및 도로폭의 유지
파쇄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하여 이 구멍에 가력봉을 삽입하고 가력봉에 유압을 가압하여 천공한 구멍을 확대시킴으로써 구조물을 파쇄하는 공법은?
록잭(Rock Jack)공법
10cm 그물코인 방망을 설치한 경우에 망 밑부분에 충돌위험이 있는 바닥면 또는 기계설비와의 수직거리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L(1개의 방망일 때 단변방향길이)=12m, A(장변방향 방망의 지지간격)=6m)
10cm인 그물코인 방망이고 L >= A 이므로 방망의 허용낙하높이는 0.85L 이상이어야합니다.
즉 0.85 * 12 = 10.2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건설공사 중 다리 건설공사의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준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다리의 건설 등 공사
가.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나.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문판종의숙지냉)
1)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ㆍ식물원은 제외한다)
2)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한다)
3) 종교시설
4)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5)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6) 지하도상가
7) 냉동ㆍ냉장 창고시설
2.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3. 최대 지간(支間)길이(다리의 기둥과 기둥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50미터 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
4. 터널의 건설등 공사
5. 다목적댐, 발전용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및 지방상수도 전용 댐의 건설등 공사
6.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지반의 굴착 작업에 있어서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한 직접적인 대책으로 옳은 것은?
측구 설치
(측구: 길도랑,옆도랑)
발파구간 인접구조물에 대한 피해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물기초에서의 허용진동치(cm/sec)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기존 구조물에 금이 가 있거나 노후구조물 대상일 경우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철골콘크리트 빌딩 : 0.8 ~ 1.0cm/sec
불도저를 이용한 작업 중 안전조치사항
모든 조종간은 엔진 시동전에 중립 위치에 놓는다.
장비의 승차 및 하차 시 뛰어내리거나 오르지 말고 안전하게 잡고 오르내린다.
야간작업 시 자주 장비에서 내려와 장비 주위를 살피며 점검하여야 한다.
#작업종료와 동시에 삽날을 지면에서 띄우고 주차 제동장치를 건다.
작업종료와 동시에 삽날을 지면에 밀착시키고 주차 제동장치를 건다. (삽날이 제동장치 역할을 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구조검토 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한다.
터널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낙반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직접적인 조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울 설치
타워크레인을 자립고(自立高) 이상의 높이로 설치할 때 지지벽체가 없어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하되, 와이어로프를 클립·샤클(shackle)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도록 유의할 것
와이어로프 - 클립, 샤클 등의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풀리지 아니도록 하며, 사용중에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유지하게 할 것
터널작업 시 자동경보장치에 대하여 당일의 작업시작 전 점검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조명시설의 이상 유무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 검토사항 먼것?
붐의 모양
다음 중 방망에 표시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방망의 신축성
터널굴착작업을 하는 때 미리 작성하여야 하는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암석의 분할방법
암석의 분활방법은 채석작업을 하는 경우의 작업계획서 내용이다.
크레인 또는 데릭에서 붐각도 및 작업반경별로 작용시킬 수 있는 최대하중에서 후쿠(Hook), 와이어로프 등 달기구의 중량을 공제한 하중은?
정격하중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조치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경보 장치 설치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의 사용내역에 대하여 수급인 또는 자기공사자는 공사 시작 후 몇 개월 마다 1회 이상 발주자 또는 감리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가?
6개월
보호구 자율안전확인 고시에 따른 안전모의 시험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절연시험
갱내에 설치한 사다리식 통로에 권상장치가 설치된 경우 권상장치와 근로자의 접촉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판자벽
판자벽 이나 격벽을 설치해야함
건설작업장에서 재해예방을 위해 작업조건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할 보호구로 옳지 않은 것은?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모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 : 안전대
물체의 낙하 · 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화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을때는 방염포(불티비산방지커버)를 사용한다질문에서 착용하여야할 보호구를 물었기때문에 보안경이 아니라 용접보안면을 착용해야 하는것으로 보입니다.
건설현장 토사붕괴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반 내부마찰각의 증가
내부마찰각이 커지면 토압이 감소해서 안정적입니다.
거푸집 동바리의 침하을 방지하기 위한 직접적인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수평연결재 사용
수평연결재 : 수평하중의 분산기능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
발주자 또는 자기공사자는 설계변경 등으로 대상액의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안전관리비를 조정계상하지 않는다.
발주자 또는 자기공사자는 설계변경 등으로 대상액의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안전관리비를 조정계상하지 않는다.
-> 발주자 또는 자기공사자는 설계변경 등으로 대상액의 변동이 있는 경우 안전관리비를 조정계상한다.
취급ㆍ운반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곡선 운반을 할 것
철골기둥, 빔 및 트러스 등의 철골구조물을 일체화 또는 지상에서 조립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고소작업의 감소
고소작업은 위험이 많으며 지상에서 작업이 안점함
개착식 흙막이벽의 계측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내공변위 측정
발파작업 시 폭발, 붕괴재해예방을 위해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발파공의 장전구는 마찰, 충격에 강한 강봉을 사용한다.
발파공의 장전구는 마찰,충격의 위험이 없는 목재 또는 비전도성 재료를 사용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테이블폼(table form),유로폼
일체형 거푸집인것 :갱폼, 슬립폼, 클라이밍폼 (갱.슬.클)
표준안전난간의 설치 장소가 아닌 것은?
리프트 입구 => 안전문 설치
철골공사 시 구조물의 건립 후에 가설부재나 부품을 부착하는 것은 고소 작업 등 위험한 작업이 수반됨에 따라 사전안전성 확보를 위해 미리 공작도에 반영하여야 하는 항목이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주변 고압전주
흙막이 공법을 흙막이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와 구조방식에 의한 분류로 나눌 때 다음 중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수평 버팀대식 흙막이 공법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 : 오픈컷 공법, 자립 공법, 타이로드 공법, 수평버팀대 공법, 어스앵커 공법
구조방식에 의한 분류 : H-Pile 공법, 널말뚝 공법, 지하연속벽(슬러리월) 공법, CIP, SCW, 역타(탑다운) 공법
산소결핍이라 함은 공기 중 산소농도가 몇 퍼센트(%) 미만일 때를 의미
18%
다음 중 차량계 건설기계 속하지 않는 것은?
타워크레인 타워크레인은 양중기계
건설공사 시공단계에 있어서 안전관리의 문제점에 해당되는 것은?
발주자의 감독, 소홀
*위험성평가에 활용하는 안전보건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사업장 근로자수와 금년 퇴직자수
*리프트 조립. 해체작업하는 지휘하는 자 하는일 아닌것 -> 운전방법고장.처치방법 근로자에게 주지시키는일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첨부서류에서 공사 개요 및 안전보건관리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
교통처리계획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
램머(Rammer)->지반 다짐기계
*사면지반 개량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옹벽공법
*사면지반 개량공법
1. 주입공법 2. 이온교환공법 3. 전기화학적공법
4. 시멘트안정 처리공법 5. 석회안정처리공법 6. 소결공법
[해설작성자 : 록구]
4. 옹벽공법은 사면 보강 공법이다.
점성토지반의 개량공법 아닌것 :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 ==> 사질지반
거푸집 해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일반적으로 수평부재의 거푸집은 연직부재의 거푸집보다 빨리 떼어낸다.
->연직부재 먼저 떼어냄
*앵글도저보다 큰 각으로 움직일 수 있어 흙을 깎아 옆으로 밀어내면서 전진하므로 제설, 제토작업 및 다량의 흙을 전방으로 밀어 가는데 적합한 불도저는?
힌지 도저
*토공사용 기계로서 흙을 깎으면서 동시에 기체내에 담아 운반하고 깔기작업을 겸할 수 있으며, 작업거리는 100~1,500m 정도의 중장거리용으로 쓰이는 것은? 캐리올스크레이퍼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안전관리자의 선임
**사면 보호 공법 중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식생구멍공
비탈면 보호공법(사면 보호공법)
식생공법: 떼붙임공.식생공.식수공.파종공
구조물보호공:블록(돌)붙임공.블록(돌)쌓기공.콘크리트블록.격자공.뿜어붙이기공
응급대책:배수공.배토공.압성토공
항구대책:옹벽공.소일네일링공법.어스앵커공법
*다음 중 건설재해대책의 사면보호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쉴드공
사면보호 공법의 종류
식생공
피복공
뿜어붙이기공
격자틀공
낙석방호공법
흙막이벽의 근입깊이를 깊게 하고, 전면의 굴착부분을 남겨두어 흙의 중량으로 대항하게 하거나, 굴착예정부분의 일부를 미리 굴착하여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대책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히빙현상이 있을 때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방호장치의 이상유무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
가. 권과방지장치·브레이크·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나.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trolley)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이동식일때는 이게 답
다.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에 그 기계의 전도 또는 전락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취해야할 조치와 거리가 먼 것은?
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의 기능 점검==> 작업전 점검사항
-유도자 배치
-지반 부동침하 방지
-갓길 붕괴방지
가설구조물에서 많이 발생하는 중대 재해의 유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굴착기계와의 접촉에 의한 재해
점토질 지반의 침하 및 압밀 재해를 막기 위하여 실시하는 지반개량 탈수공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진동공법
'공부하는엄마 > 2024-건설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3과목 인간공학 (1) | 2024.02.15 |
|---|---|
| [최종정리] 건설안전기사-2과목 산업심리및교육 (2) | 2024.02.15 |
|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 4과목 건설시공-문제외우기,핵심만정리 (1) | 2024.02.15 |
| [최종정리] 건설안전기사-5과목 건설재료학 -젤 취약한 부분 (1) | 2024.02.14 |
|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2)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