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토
점토의 성분.성질
소성색상은 산화철이 많을 수록 짙은 적색이 된다.
*점토에 관한 설명
#가소성은 점토입자가 클수록 좋다
가소성이 너무 큰 경우 모래,구운점토 분말로 조절해야함
점토입자가 크면 가소성이 적다. 입자가 고우면 가소성이 좋다.
가소성이 너무 큰 경우는 별개의 문제이다.
소성된 점토제품의 색상은 철화합물, 망간화합물, 소성온도 등에 의해 나타난다.
저온으로 소성된 제품은 화학변화를 일으키기 쉽다.
Fe2O3 등의 성분이 많으면 건조수축이 커서 고급 도자기 원료로 부적합하다.
★콘크리트
*
*
*
*
*
*골재의 실적률
실적률은 골재 입형의 양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부순 자갈의 실적률은 그 입형 때문에 강자갈의 실적률보다 적다.
실적률 산정 시 골재의 밀도는 절대건조 상태의 밀도를 말한다.
#골재의 단위용적질량이 동일하면 골재의 밀도가 클수록 실적률도 크다.
*콘크리트 탄산화
일반적으로 보통 콘크리트가 경량골재 콘크리트보다 탄산화 속도가 느리다
탄산가스의 농도, 온도, 습도 등 외부환경조건도 탄산화 속도에 영향을 준다.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탄산화의 진행속도가 빠르다.
탄산화된 부분은 페놀프탈레인액을 분무해도 착색되지 않는다.
*플라이애쉬 시멘트
화력발전소 등에서 완전연소한 미분탄의 회분과 포틀랜드시멘트를 혼합한 것이다.
플라이 애쉬 : Fly Ash = 공기중에 날아다니는 재
- 화력발전소 및 완전연소를 시키는 공장의 굴뚝에서 날아다는 재를 ( 미분탄의 회분 ) 모아서 포틀랜드 시멘트에 혼합한것
*콘크리트 비파괴 시험 : 방사선투과,초음파, 표면경도(슈미트) #침투탐상시험
*콘크리트 중성화
콘크리트의 중의 수산화석회가 탄산가스에 의해서 중화되는 현상이다.
물시멘트비가 크면 클수록 중성화의 진행속도는 빠르다.
콘크리트의 중성화 : 콘크리트는 표면으로부터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하면서 "알칼리성을 잃어버리는 현상"
중성화되면 콘크리트 내 철근은 녹이 슬기 쉽다.
*콘크리트 열적성질 및 내구성 설명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는 상온의 범위에서 1×10-5/℃ 전후이며 500℃에 이르면 가열 전에 비하여 약 40%의 강도발현을 나타낸다.
콘크리트의 내동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흡수율이 적은 골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콘크리트에 염화물이온이 일정량 이상 존재하면 철근 표면의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철근 부식을 유발하기 쉽다.
공기량이 동일한 경우 경화콘크리트의 기포간극계수가 작을수록 '이동거리가 짧아져 이동압이 감소하므로 내동해성은 증가된다.'
*서중콘크리트
시멘트는 고온의 것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고 골재 및 물은 가능한 한 낮은 온도의 것을 사용한다.
표면활성제는 공사시방서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AE감수제 지연형 등을 사용한다.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수분의 급격한 증발이나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 상승을 막고 습윤상태가 유지되도록 양생한다.
거푸집 해체시기 검토를 위하여 압축온도를 활용한다
*한중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위수량은 초기동해를 적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되도록 적게 정하여야 한다.
동결대비 물시멘트비는 60%이하로 한다
배합강도 및 물-결합재비는 적산온도 방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한중콘크리트: 적산온도
서중콘크리트:압축온도
*AE콘크리트(ALC랑 헷갈리지 말기)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증가한다.
AE콘크리트 : 콘크리트 속에 AE제를 혼합하여 시공연도를 좋게 한 콘크리트.
철근과 부착강도는 다소 작아진다.
*경량기포콘크리트(ALC)
단열성이 높아 결로 발생 X
강도낮아 비내력용으로 사용
내화성능 일부 보유
다공질이기때문에 흡수성 높음
경량이고 다공질이여서 가공시 톱 사용할 수 있다.
단열성우수, 흡음.차음성 우수
내화성은 떨어짐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특징
1. 경화가 느리다.
2. 시공이 용이하고 값이 싸다
3. 페인트 칠이 불가능하다.
4. 수축성이 커서 균열발생이 쉽다.
5. 알칼리성이다.
6. 기경성이다.
7.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
*경석고 플라스터 (킨즈시멘트) -고온소성의 무수석고 화학처리
1.무수석고를 화학처리하여 만든 것으로 경화한 후 매우 단단하다.
2.강도가 크다.
3.경화가 빠르고 팽창한다.
4.산성으로 철류를 녹슬게 한다.
5.수축이 매우 작다.
6.표면강도가 크고 광택이 있다.
7.다른석고계의 플라스터와 혼합을 피해야한다.
#소석고보다 응결속도가 빠르다
킨즈시멘트 제조 시 무수석고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재료는? 백반
*고로시멘트
해수에 대한 내식성 큼 ,대형콘크리트공사
초기강도 작으나 장기강도 큼
잠재수경성 성질 가지고있음수화열량적어, 매스콘크리트용 사용응결시간 느림, 겨울철공사 유의
다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화학저항성 및 수밀성, 알칼리골재반응 억제 등에 효과적이다.
비중이 작다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비중이 크고 풍화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다.
*폴리머시멘트
폴리머시멘트는 폴리머를 결합재로 사용한 콘크리틀로 압축강도, 방수성, 수밀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바닥재, 포장재로 많이 쓰인다
폴리머 뜻이 :고분자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시멘트의 응결시간은 분말도가 클수록, 또 수량이 작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진다.
시멘트의 안정성 측정법으로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방법이 있다.
시멘트의 비중은 소성온도나 성분에 따라 다르며, 동일 시멘트인 경우에 풍화한 것일수록 작아진다.
시멘트의 비표면적이 너무 크면 풍화하기 쉽고 수화열에 의한 축열량이 커진다
★접착제
실리콘수지 :내약품성, 내후성이 좋으며 방수피막 등에 사용된다.(옳지않은답: 내수성작고,열에 강하다)
에폭시수지: 금속제 접착, 접착할때 압력필요없음,경화제.충전제.보강제 조합 사용 , 내산.내알칼리.내수성 우수
열경화성 수지로써 휘발물의 발생이 없다.
요소수지: 무색, 착색 자유롭고 내수성 크며 내수합판의 접착제로 사용
폴리에스테르수지 : 전기절연성.내열성우수.내약품성 뛰어남
*합성수지
투광률이 비교적 큰 것이 있어 유리 대용의 효과를 가진 것이 있다.
착색이 자유로우며 형태와 표면이 매끈하고 미관이 좋다.
흡수율, 투수율이 작으므로 방수효과가 좋다.
광택.경도.열가소성 등이 천연수지와 비슷, 합성수지는 내마모성과 표면강도가 약하다
## 경도가 높아서 마멸되기 쉬운 곳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비닐수지접착제
용제형과 에멀션(emulsion)형이 있다.
작업성이 좋다.
목재 접착에 사용가능하다.
★금속
금속판에 관한 설명
1.알루미늄판은 경량이고 열반사도 좋으나 알칼리에 약하다.
2.스테인리스 강판은 내식성에 필요한 제품에 사용된다.
3.함석판은 아연도철판이라고도 하며 외관미도 좋고 내식성이 강하다.
4.연판은x선 차단효과가 있고 내식성도 크다.
[이온화경향 가장 큰 금속]
Mg
Mg > Al > Fe > Cu
K>Ca>Na>Mg>Al>Zn>Fe>Ni
칼카나마알아철니
비철금속에 관한 설명
#청동은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용 장식철물에 사용된다.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
[알루미늄 창호]
공작이 자유롭고 기밀성이 우수하다.
도장 등 색상이 자유도가 있다.
이종금속과 접촉하면 부식되고 알칼리에 약하다.
내화성에 약함 (#내화성이 높아 방화문으로 주로 사용된다)
[주석]
인체에 무해하며 유기산에 침식되지 않는다.
동은 건조한 공기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면 녹이 발생한다.
아연은 인장강도나 연신율이 낮기 때문에 열간 가공하여 결정을 미세화하여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납은 융점이 높아 가공은 어려우나, 내알칼리성이 커서 콘크리트 중에 매입하여도 침식되지 않는다.
-납의 융점은 327도씨로 낮다!!
[납]
1.융점이 낮고 가공이 쉽다.
2.비중(11.4)이 매우 크고 연질이다.
3.전성, 연성이 크다.
4.내식성이 우수하다.
5.방사선 차폐용 벽체에 이용된다.
6.알칼리에 약하며 콘크리트에 침식된다.
7.염산,황산,농질산에는 강하나 묽은 질산에는 녹는다.
8.공기 중의 습기와 CO2에 의해 표면에 피막이 생겨 내부를 보호 한다.
9.급배수관, 가스관, X선실 등
[아연]
1.내식성이 좋다.
2.알칼리 침식된다.
3.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공기중 습기, 탄산가스에 의해 표면에 염기성 탄산아연 피막을 만들어 부식을 방지
4.아연은 묽은 산류에 쉰게 용해된다.
5.불순물인 철, 카드뮴, 주석 등을 소량 함유하게 되면 광택이 매우 떨어진다.
6.철제품의 피복재, 내식도금재, 함석판으로 사용
★석재
트래버틴 : 실내장식재(외부사용 불가), 석질 불균일하고 다공질, 황갈색 반문, 물갈기 하면 광택
석면 : 단열재 보온재 등으로 사용하였으나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 규제
테라조 : 대리석, 화강암 등의 부순골재, 안료, 시멘트 등을 혼합한 콘크리트로 성형하고 경화한 후 표면을 연마하고 광택을 낸 제품 (인조석)
점판암 : 슬레이트, 지붕 등에 사용
화성암: 화강암, 안산암, 현무암, 화산암, 감람석 등
└
화강암: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나 함유광물의 열팽창계수가 달라 내화성이 약한 석재로 외장, 내장, 구조재, 도로포장재, 콘크리트 골재
-전반적인 색상 밝은 회백색
-흑운모, 각섬석,휘석 등은 검은색을 띤다
-산화철을 포함하면 미홍색을 띤다
-화강암의 색은 "장석"에 좌우된다. (장석.석영.
현무암 : 입자가 잘거나 치밀,색은 검은색.암회색. 석질 견고하여 토대석, 석축으로 쓰이는 석재
수성암: 석회암, 점판암, 응회암, 사암 등
변성암: 대리석, 트래버틴, 석면, 사문암 등 (변성암에 속하지 않는 서재 : 펄라이트)
└
① 대리석 : 변성암의 대표적 석재
㉠ 연마하면 아름다운 광택을 낸다.(장식재)
㉡ 내산성 및 내화성이 낮고 풍화되기 쉽다.
② 석면 : 천연결정 섬유
㉠ 내화성(1200∼1300℃)이 있다. ㉡ 열전도율이 작고 내알카리성이 우수하다
진주암(화성암의 일종)
★목재
목재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기건비중이 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
가력방향이 섬유방향과 평행일 때의 압축강도가 직각일 때의 압축강도보다 크다.
응력방향이 섬유방향과 평행일 때의 압축강도가 직각일 때의 압축강도보다 크다.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의 함수율이 커질수록 압축강도는 계속 낮아진다.
==>강도는 변화 없다
목재를 이용한 가공제품에 관한 설명
집성재는 두께 1.5~3cm 의 널을 접착제로 "섬유평행방향"으로 겹쳐 붙여서 만든 제품이다.
합판은 섬유방향 "직교"되도록 붙임
-코펜하겐 리브: 연질섬유판은 두께 50mm,나비100mm긴판에 표면을 리브로 가공한것
-코르크판: 코르크나무의 수피를 분말로 가열,성형,접착하여 만든 제품
[합판]
방향에 따른 강도차가 작다.
여러 가지 아름다운 무늬를 얻을 수 있다.
곡면가공을 하여도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변형이 크다.->신축변형이 작다.
목재의 강도에 관한 설명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이 증가하더라도 강도는 일정하다.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가 증가한다.
목재의 비중과 강도는 대체로 비례한다.
#전단강도의 크기가 인장강도 등 다른 강도에 비하여 크다.
*목재 화재시 온도별 대략적인 상태변화
100℃ 이상 : 분자 수준에서 분해
100~150℃ :서서히 열분해
200℃ 이상 : 빠른 열분해
260~350℃ : 열분해 가속화
목재 조직에 관한 설명
추재의 세포막은 춘재의 세포막보다 두껍고 조직이 치밀하다.
변재는 심재보다 수축이 크다.
심재는 수심의 주위에 둘러져 있는, 생활기능이 줄어든 세포의 집합이다.
침엽수의 수지구는 수지의 분비, 이동, 저장의 역할을 한다
변재는 심재외측, 수피내측에 있는 생활세포의 집합 , 수액의 통로 : 동시에 양분의 저장소
*목재의 강도
인>휨> 압> 전 (인장강도-휨강도-압축강도-전단강도)
*목재의 성질
물속에 담가 둔 목재, 땅속 깊이 묻은 목재 등은 산소부족으로 균의 생육이 정지되고 썩지 않는다.
목재의 함유수분 중 자유수는 목재의 물리적 또는 기계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목재는 열전도도가 아주 낮아 여러 가지 보온재료로 사용된다.
목재는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도 불구하고 신축을 일으키지 않는다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재질이 강하다 활>침 (활이 침보다 더 두껍고 단단하다)
-집성목재 : 하드텍스 목재의 결점이 분산되어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1.두께 1.5~3센티미터의 널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섬유 평행방향으로 여러장을 겹쳐붙여서 만든 목재
2.특징
-응력에 따라 필요한 치수, 단면을 만들 수 있다.
-목재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균질한 조직의 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건조균열, 비틀림, 변형 등이 생기지 않는다.
-길이, 단면 등이 큰 부재를 만들 수 있다.
파키트리 블록
마루판 재료 중 파키트리 보드를 3~5장씩 상호 접합하여 각판으로 만들어 방습처리 한 것으로 모르타르나 철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마루 바닥용으로 사용
파키트리 패널
파키트리보드를 4매씩 조합하여 만든 24cm 각판으로 의장이 수려하고 마모성이 작은 마루판재이다
★방수재료
아스팔트 펠트 : 유기천연섬유.석면섬유 결합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침투시킨것 (#블로운아스팔트아님)
아스팔트성 코킹재 : 전색재로서 유지나 수지 대신에 블로운 아스팔트를 사용한 것으로 고온에 약하다
아스팔트 프라이머 : 아스팔트에 휘발성 용제를 넣어 묽게 하여 방수층의 바탕에 침투시켜 아스팔트가 잘 부착되도록 한 것.
아스팔트 컴파운드 : 아스팔트에 동식물성 유지나 광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탄성,접착성,내구성,내열성을 개량한 것이며 가장 신축이 크고 최우량품
아스팔트 루핑 : 원재에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후, 그 양면에 피복용 아스팔트를 도포하고 광물질가루,활석,운모가루를 살포하여 마무리한 것
아스팔트 펠트 – 유기천연섬유 또는 석면섬유를 결합한 원지에 연질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것이다.
아스팔트 유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액상으로 만들고 유화제를 혼합한 것. 침투용, 혼합용, 콘크리트 양생용 등이 있고 대부분 도로포장에 사용되고 스프레이 건으로 뿌려서 도포한다
★골재
골재 실적률
1. 밀도가 크면 실적률을 작아진다
2. 시멘트 페이스트의 양이 적어 콘크리트 제조시 경제성이 높다
3.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강도가 증가한다
4. 콘크리트의 밀도가 커지면 마모저항성이 증가하여 투수성 및 흡습성이 작아진다
5. 건조수축 및수화열을 줄일 수 있다.
6. 골재의 단위용적질량이 동일하면 골재의 비중이 클수록 실적률도 크다
★혼화재
[고로슬래그 분말]
초기강도는 낮지만 슬래그의 잠재 수경성 때문에 장기강도는 크다.
해수, 하수 등의 화학적 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슬래그 수화에 의한 포졸란 반응으로 공극 충전효과 및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효과가 크다.
#슬래그를 함유하고 있어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고로슬래그분말을 사용하면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작다.(건조수축이 크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습지 : 1:1~1:1.5
건지 : 1:0.5~1:1
풍화암 : 1:1.0(변경)
연암 : 1:1.0(변경)
경암 : 1:0.5(변경)
풍연은 1.0 건경은 0.5
강화유리 검사항목
1. 파쇄시험
2. 쇼트백시험
3. 내충격성 시험
#촉진노출시험
*플라스틱 제품 중 비닐 레더(vinyl leather)에 관한 설명
색채, 모양, 무늬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면포로 된 것은 찢어지지 않고 튼튼하다.
두께는 0.5~1mm이고 길이는 10m의 두루마리로 만든다.
용도는 인공피혁으로 쓰임, 신발이나 자동차시트로 이용가능
#커튼, 테이블크로스, 방수막으로 사용된다.
세라믹재료의 일반적인 특성
내열성, 화학저항성이 우수하다.
단단하고, 압축강도가 높다.
전기절연성이 있다.
[도료]
도료의 사용 용도에 관한 설명
유성바니쉬는 투명도료이며, 목재마감에도 사용가능하다.
합성수지 에멀션페인트는 콘크리트면, 석고보드 바탕 등에 사용된다.
클리어래커는 목재면의 투명도장에 사용된다.
#유성페인트는 모르타르, 콘크리트면에 발라 착색방수피막을 형성한다 → '유성'이 방수가 된다는 보장이 없음.
모르타르와 콘크리트 바탕에는 수성페인트를 사용해야한다. (내알칼리성 때문)
1.멜라민수지 접착제 :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내수성이 우수하여 내수합판용으로 사용
•내수성이 크다
•순백색 또는 투명백색이다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로 제조
•마감재, 전기부품, 치장판, 내장재로 적당 / 먹재접합에 사용
3.페놀수지 접착제 : 용제형과 에멀젼형이 있고 멜라민, 초산비닐등과 공중합시킨 것도 있다
•수용형, 용제형, 분말형 등이 있으며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이들 이종재간의 접착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접착제
•재수합판의 접착제, 전기배전판, 도료등에 사용
•내열‧내수성이 우수한 편이다
•기온20℃이하에서는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완전히 강화되면 적동색을 띈다
4.염화비닐수지는 P.V.C라고 칭하며 내산‧알칼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다, 판재‧파이프등의 각종 성형품
[문제외우기]
건축재료 중 마감재료의 요구성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역학적 성능
콘크리트에 AE제를 첨가했을 경우 공기량 증감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양생방법
일종의 못박기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강재 등에 박는 특수못을 의미하는 것은
드라이브핀
목재 건조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공성의 증진
강도의증진,중량의 경감,균류발생의 방지
유리의 중앙부와 주변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응력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유리의 열파손이라 한다. 열파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두께가 얇을수록 강도가 약해 열팽창응력이 크다.
[유리의 열파손]
* 유리의 열파손이란 태양광의 쏘임에 따른 유리의 온도차이로 인한 팽창성 차이가 응력을 발생시켜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을 말한다.
① 색유리에 많이 발생 : 열 흡수 많기 때문
② 동절기 맑은날 오전에 많이 발생 : 프레임과 유리의 온도차 클 때
③ 두께가 두꺼울 수록 열팽창 응력 큼
④ 균열은 프레임에 직각으로 시작하여 경사지게 진행
⑤ 판유리 온도차 60℃ 이상 되면 열파손 발생
유리의 주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SiO2
규산유리(SiO2)
1. 석영유리 또는 용융수정유리라고 하는 것인데 규산 SiO2 를 99.5[%]를 함유하고 있다.
2. 열팽창률이 매우 작고 (선팽창계수가 약 0.5* 10-6), 내열성도 크다
건축물에 사용되는 천장마감재의 요구성능
내화성,흡음성, 차음성
#내충격성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관한 설명 옳지 않은 것
깬자갈이나 깬모래를 사용할 경우, 잔골재율을 작게 하고 단위수량을 감소시켜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깬 자갈이나 깬모래를 사용할 경우, 잔골재율을 크게 하고 단위수량을 증가시켜 워커빌리티가 좋아지도록 해야한다.
워커빌리티
1. 쇄석을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저하한다.
2. 빈배합의 워커빌리티가 좋다.
다음 중 방청도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클리어 래커
클리어 래커 → 안료를 섞지 않은 초산 셀룰로오스가 주성분인 바니시
방청 도료의 종류
1. 광명단(연단) 도료
2. 알루미늄 도료
3. 역청질 도료
4. 징크로메이트 도료
5. 위시프라이머
6. 방청산화철 도료
7. 규산염 도료
목재 건조 시 생재를 수중에 일정기간 침수시키는 주된 이유는?
건조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부재 두께의 증가에 따른 강도저하, 용접성 확보 등에 대응하기 위해 열간압연 시 냉각조건을 조절하여 냉각속도에 의해 강도를 상승시킨 구조용 특수강재는?
TMC 강재
플로트판유리를 연화점부근까지 가열 후 양 표면에 냉각공기를 흡착시켜 유리의 표면에 20 이상 60 이하(N/mm2)의 압축응력층을 갖도록 한 가공유리는?
배강도 유리
오토클레이브(auto clave)에 포화증기 양생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징
경량이고 다공질이어서 가공 시 톱을 사용할 수 있다.
강재 시편의 인장시험 시 나타나는 응력-변형률 곡선에 관한 설명
상위항복점까지 가력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변형은 원상으로 회복된다.
인장강도 점에서 응력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냉간성형한 강재는 항복점이 명확하지 않다.
상위항복점 이후에 하위항복점이 나타난다.
다음 중 원유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아스팔트에 해당하는 것은?
블론 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 락아스팔트, 레이크 아스팔트, 아스팔트 타이트, 샌드 아스팔트
석유아스팔트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브로운 아스팔트, 아스팔트 콤파운드
점토제품에서 SK번호가 의미하는 바로 옳은 것은?
소성온도를 표시 -제게르 (Seger)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물과시멘트 의 배합비
금속 중 연(납)(鉛)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산, 알카리에 침식되지 않는다. (산은 저항이 크지만, 콘크리트-알칼리는 침식됨)
대규모 지하구조물, 댐 등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균열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벨라이트의 비율을 높인 시멘트는?
:저열포틀랜드시멘트
건축용으로 판재지붕에 많이 사용되는 금속재료는?
:동
다음 목재가공품 중 주요 용도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플로어링블록(flooring block)
플로어링 블록 : 바닥재 (강마루 용도)
연질섬유판, 코르크 판 : 파티클 보드 형태의 벽체용도
코펜하겐 리브판 : 물결무늬의 흡음성이 뛰어난 벽체 마감재
부순굵은골재에 대한 품질규정치가 KS에 정해져 있지 않은 항목은?
:압축강도
내약품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화학공장의 방수층을 겸한 바닥 마무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에폭시 도막방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보강용 섬유소재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PCP (PCP:목재의방부제)
안료를 적은 양의 물로 용해하여 수용성 교착제와 혼합한 분말상태의 도료는?:수성 페인트
수밀성,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유리와 새시의 접합부, 패널의 접합부 등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부착이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형상이 H형, Y형, ㄷ형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개스킷(Gasket):
접촉면에서 가스나 물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끼워 넣는 패킹(packing)
목재의 강도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은?
섬유 직각방향의 인장강도
아스팔트 방수시공을 할 때 바탕재와의 밀착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스팔트 프라이머
자연에서 용제가 증발해서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어 굳는 도료는?
염화비닐수지에나멜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작다가 맞음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각종 혼화제의 작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건조작용
방수공사에서 쓰이는 아스팔트의 양부를 판별하는 성질 4가지
- 감온성, 침입도, 신도, 연화점
방수공사에서 쓰이는 아스팔트의 양부(良否)를 판별하는 주요 성질과 거리가 먼 것은?
마모도
도료의 건조제로 사용되지 않는것 : 나프타
고로슬래그 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슬래그를 함유하고 있어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건조수축이 작다. 저항성이 작다
-
건축용 코킹재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축률이 크다.
코킹재는 수축률이 작다
비철금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석 : 주조성ㆍ단조성은 좋지 않으나 인장강도가 커서 선재(線材)로 주로 사용된다.
주석 : 주조성 단조성이 좋아 각종 금속과 합금유리
미장재료 중 시공 후 강재의 초기 부식 유발하는 재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시멘트 모르타르
-
재료배합 시 간수(MgCl₂)를 사용하여 백화현상이 많이 발생되는 재료는? 마그네시아 시멘트 (바닥재료.인조석판)
-열가소성수지 제품은 전기절연성, 가공성이 우수하며 발포제품은 저온 단열재로서 널리 쓰이는 것은?
폴리스티렌수지
-도료의 도막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유동성을 얻기 위하여 첨가하는것 : 용제
- 시멘트에 약간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시키면 가소성 있는 페이스트가 얻어지나 시간이 지나면 유동성을 잃고 응고하는데 이러한 현상 : 응결
-무기재료에 포함되지 않는 것 : 목재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 성능저하 가장 거리가 먼것 : 응결성 저하
-바탕과의 접착 주목적으로 하며, 바탕의 요철을 완하시키는 바름공정 : 초벌바름
-석유계 아스팔트, 방수성 우수 연화점 낮고, 아스팔트루핑, 아스팔트 펠트의 삼투용,내후성 및 온도에 의한 변화정도가 커 지하실 방수공사 외 사용하지 않는것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목재의 유용성 방부제로서 자극적인 냄새 등으로 인체에 피해를 주기도 하여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것은?
PCP방부제
-
화재 시 가열에 대하여 연소되지 않고 방화상 유해한 변형, 균열 등 기타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유해한 연기나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불연재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목모시멘트판
-단열재에 습기나 물기 침투하면 어떤현상? 열전도율이 높아져 단열성능이 나빠짐
-다음 중 자연에서 용제가 증발하여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어 굳는 도료는?염화비닐수지에나멜
-건성유에 연백.안료 더해서 만든것 유성페인트의 바탕만들기 퍼티 : 페인트 퍼티
-시멘트 클링커 화합물:
시멘트의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C3A(알루미네이트-급결현상)를 감소시켜야 한다.
-
아파트의 외벽 도장 작업 시 추락방지를 위해 주로 수직 구명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보호장구
: 추락방지대
-철골 건립기계 선정시 사전 검토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인양물 종류
-콘크리트 구조물 강도 보강용 섬유소재 적당하지 않은것 ? 석면 섬유
└섬유가 탄 이유 아나유(탄소섬유.아라미드섬유.나일론섬유.유리섬유)
-스테인리스 강재 종류 건축재 가장 많이 사용 내외장 설비 모든 용도 : STS304
-녹방지용 안료 : 탄산칼슘
-수성페인트+합성수지+유화제 : 에멀션페인트
-결로현상 발생 적은것: 복층유리
-목재의 결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수심
-경량콘크리트의 골재로서 슬래그(slag)를 사용하기 전 물축임하는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시멘트가 수화하는데 필요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
미장용 혼화재료 중 착색을 목적으로 하는 착색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염화칼슘
-건물의 외장용 도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유성바니시(내장용도로)
-
건축용 뿜칠마감재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결합재 : 바탕재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재료 (골재, 시멘트 등)
-은백색의 굳은 금속원소로서 불순물이 포함되면 강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스테인리스강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합금은?
티타늄과 그 합금
-다음 미장재료 중 여물(hair)이 필요 없는 것은? 경석고 플라스터
└풀이 필요 없는건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콘크리트의 유동성 증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유동화제의 주성분 아닌것 :
폴리알킬아릴설폰산염계 축합물
석재의 화학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규산분을 함유한 석재는 내산성이 강하고 산을 접하는 바닥용도로 사용함
대리석, 사문암 등은 내장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암광물 중 장석, 방해석 등은 산류의 침식을 쉽게 받는다.
산류를 취급하는 곳의 바닥재는 황철광, 갈철광 등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유리가 불화수소에 부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5mm이상 판유리면에 그림, 문자 등을 새긴 유리는?
에칭유리
인조석 갈기 및 테라조 현장갈기 등에 사용되는 구획용 철물의 명칭은?
줄눈대(metallic joiner)
리석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황갈색의 반문이 있고 갈면 광택이 나서 우아한 실내장식에 사용되는 것은?
트래버틴
직사각형으로 자른 얇은 나뭇조각을 서로 직각으로 겹쳐지게 배열하고 방수성 수지로 강하게 압축 가공한 보드는?
O.S.B
목모시멘트판을 보다 향상시킨 것으로서 페기목재의 삭편을 화학처리하여 비교적 두꺼운 판 또는 공동블록 등으로 제작하여 마루, 지붕, 천장, 벽 등의 구조체에 사용되는 것은?
듀리졸(durisol)
역청재료의 침입도 시험에서 질량 100g의 표준침이 5초 동안에 10mm 관입했다면 이 재료의 침입도는 얼마인가?
100
접착제를 동물질 접착제와 식물질 접착제로 분류할 때 동물질 접착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덱스트린 접착제
파손방지, 도난방지 또는 진동이 심한 장소에 적합한 망입(網入)유리의 제조 시 사용되지 않는 금속선은?
청동선 (잘 늘어나지 않고, 잘 끊어짐)
[헷갈리는 개념들]
*이동식 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 밑변 최소폭의 길이가 2m라면 이 비계의 사용가능한 최대 높이는?8M
이동식 비계의 최대 높이 : 밑변 최소 폭 길이의 4배
*강관비계구조
띠장간격 1.5M이하로 설치 첫번째 띠장 지상으로부터 2.0M 이하의 위치에 설치 , 비계기둥 31M , 2개의 강관으로 묶어세울것
*가설통로
경사 30도 , 15도로 초과하면 미끄러지지않는 구조로 할것
높이 8m 이상의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
작업상 부득이한 때에는 필요한 부분에 한하여 안전난간을 임시로 해체할 수 있다.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미터 이상인 경우네는 10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 할것
*기건상태에서의 목재의 함수율 :15%
절대건조상태 :0%
섬유포화점 30%
*점토벽돌의 압축강도
1종 : 24.50 Mpa이상
2종 : 20.59 Mpa이상
3종 : 10.78 Mpa이상
*미장재료
[수경성]
시멘트모르타르 : 시멘트+모래+물
석고플라스터: 석고+모래+물
경석고 :무수석고+모래+여물+물
[기경성]
흙반죽:진흙+짚여물+물
회반죽 : 소석회+모래+해초풀+여물
돌로마이트플라스터 : 돌로마이트석회(마그네시아석회)+모래+여물+물
'공부하는엄마 > 2024-건설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종정리] 건설안전기사-6과목 건설안전기술 (1) | 2024.02.15 |
|---|---|
|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 4과목 건설시공-문제외우기,핵심만정리 (1) | 2024.02.15 |
|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2) | 2024.02.14 |
| [건안기]'안키(Anki)'로 이론요점정리하기.틈틈이 공부하는 법 (1) | 2024.01.31 |
| [건안기]24년 첫 자격증 시험은 건설안전기사! (2)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