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람.한사람 스스로 위험요인 발견.파악 단시간에 행동목표 정하여
지적확인, 특히 비정상적인 작업의 안전 확보 위험예지훈련
:자문자답카드위험예지훈련
■재해연구시 파악할 내용 먼거 :재해자의 동료수
■ 방진마스크 선정기준 옳지 않은것 : 흡.배기 저항은 높은것
■ 특별점검 : 기계, 설비 "신설"시 , 천재지변
-임시점검은 :갑작스러운 고장 나타날때 실시
■ 시설물안전관리 특별법상 안전점검의 종류
1. 정기점검 : A,B,C 등급은 반기 1회 이상 , D.E 1년에 3회
2. 긴급점검 : 관리추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또는
관계 행정기관의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관리주체에게 긴급점검을 요청한 때
3. 정밀점검
■사고조사의 본질적 특성 :사고의 공간성(x) . 사고의 시간성
■ 좌상 : 압좌, 충돌, 추락 외부 상처 없이 내부조직.장기 손상
■시몬즈(simonds)의 재해사고
휴업상해:영구일부노동불능, 통원조치
응급처치:응급조치 상해 또는 8시간 미만 휴업 의료조치 상해
통원상해:일시부분노동불능
무상해사고: 의료조치 필요없음, 20달러 이상 재산손실 또는 8시간 이상 손실 발생한 사고
==> 다 일부라고 생각하면 되겠구만
■안전보건총괄책임자
-도급시 안전.보건조치
-위험성 평가 실시
-산업재해 예방조치
-안전인증대상,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기구등의 사용여부
-안전보건관리비 집행감독.수급인간의 협의 조정
-작업중지 및재개
-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 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기구 등의 사용여부 확인
-대상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작성할 때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사항
#안전인증대상기계와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지도
■안전관리자
안전교육계획 수립 및 실시
안전.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에서 심의.의결한 업무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 수립.안전교육실시에 관한 보좌.조언.지도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조언.지도
#지휘.감독하는 작업 은 안전관리자 업무 아님
■관리감독자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 및 방호장치·보호구 등의 안전성 평가 및 개선
-작업공정 유해.위협 재해예방대책
-표준안적작업방법 지도요령
-산업보건 및 직업병예방
-유해.위험.작업환경관리
-산업안전보건법 일반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위원회
-근로자의 건강관리.보건교육.건강증진지도
-산업재해예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변경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작업환경의 점검.개선
-근로자의 건강진단. 건강관리
-중대재해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 기구 설비도입한 경우 안전보건조치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이 아닌 것
재해자의 관한 치료 및 재해보상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의 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안전 · 보건의식을 북돋우기 위한 홍보 · 교육 및 무재해운동 등 안전문화를 추진할 것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한 사항
근로자위원과 사용자 위원은 같은수로 구성
산업안전보건회의 정기회의는 "분기"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장이
소집하여 진행하고 "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할다고 인정할때에 소집한다.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구성된다.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의 자동차 제조업의 경우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 사업주가 해야할일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는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 및 근로조건 개선
해당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
■ PDCA 사이클의 4단계
계획(plan) → 실천(do) → 확인(check) → 조치(action)
A : 낙하 및 비래방지용
B : 추락방지용
AB :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방지용 ===> 비내전압성이면서 위험방지라고 나오면 AB
AE : 낙하 및 비래,감전방지용(내전압성) ==>내전압성이면서 감전방지.
ABE : 낙하 및 비래,추락,감전방지용(내전압성)
■ TBM(Tool Box Meeting) :조회.오전.정오.오후 교체 시행 , 즉시즉응법,5~6인소집단.단시간(5분~15분)#하루2회 아님
터치앤콜 :연대감느끼고,
■ 자율안전확인대상
안전확인대상
■하인리히 :
버드 :제어의부족->기본원인->직접원인(불안전한상태.행동)->사고->재해
아담스 :관리구조 -> 작전적에러 -> 전술적에러(직접원인) -> 사고 -> 상해
작전적에러 : 경영자나 감독의 행동
전술적에러: 불안전한 행동.불안전한 상태
직접원인 = 불안전한상태(물적원인), 불안전한행동(인적원인)
관리적원인 = 기술적원인, 교육적원인, 작업관리상의원인, 재해의 간섭원인,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
#인적원인
직접비: 휴업보상비,장해보상비,요양보상비,장의비,유족보상비
간접비: 인적손실.물적손실.생산손실.기타손실
하인리히
1:29:300
1 = 사망, 중상
29 = 경상
300 = 무사고, 아차사고
버드의 재해 구성 비율
1: 10 : 30 : 600
① 중상 또는 폐질 1회
② 경상(물적, 인적상해) 10회
③ 무상해 사고(물적손실) 30회
④ 무상해 무사고 고장(위험순간) 600회
하인리히(불안전한상태및행동)=아담스(전술적에러) =버드(직접원인)
재해손실비의 산정방식 중 버드(Frank Bird) 방식의 구성비율
1 : 5 ~ 50 : 1 ~ 3
[웨버(D.A.Weaver)의 작전적 에러 질문유형 3가지]
① what : 무엇이 불안전한 상태이며 불안전한 행동인가? (사고의 원인)
② why : 왜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이 용납되는가?
③ whether : 감독과 경영 중에서 어느쪽이 사고방지에 대한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재해손실 비보험 코스트 항목 : 휴통구무 (휴업XA.통원XB.구급XC. 무상해XD)
■안전표지 표시 색
산업안전보건법상 조립·해체 작업장 입구에 설치하여야 할 출입금지 표지의 색채로 가장 적당한 것은?
바탕 : 흰색 기본모형 : 빨간색 관련부호 : 검정색 그림 : 검정색
■무재해운동 추진기법 : 위험예지훈련, 브레인스토밍, 지적확인, 터치앤콜
■중대재해
-사망자가 1명이상
-3개월이상 요양 2명이상
-부상자.직업성질병자 10명이상
-3개월 이상 요양필요한 부상자 2명이상 발생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사업장 기준
-작업환경.불량.화재.폭발.누출사고 등 사회적 물의 일으킨 사업장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이상
-유해인자 노출기준 초과한 사업장 중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직업병에 걸린 사람 "연간 3명"이상 발생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사고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작업절차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 검수, 재해율 또는 그 순위를 공표할 수 있는 공표대상 사업장의 기준
1. 동종업체 평균재해율 상위 5% 이상 사업장
2. 중대재해 발생 연간 2명 이상 발생 사업장
3. 산재보고 은폐 사업장
4. 중대 산업사고 발생 사업장
안전모의 시험 성능기준
내관통성, 충격흡수성, 내전압성, 내수성, 난연성, 턱끈풀림 (내가 충격을 받아서 턱에 난리가 났어)
사업주가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 기록ㆍ보전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피해상황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 속에 그림 또는 부호의 크기는 안전ㆍ보건표지의 크기와 비례하여야 하며, 안전ㆍ보건표지 전체 규격의 최소 30% 이상이어야 한다.
■ 안전보건 규정 : 30일
안전보건관리개계획서 : 60일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 15일
* 재해예방의 4원칙 (손원예대)
① 예방가능의 원칙 : 천재지변을 제외한 모든 인재는 예방이 가능하다.
② 손실우연의 원칙 : 사고의 결과 손실의 유무 또는 대소는 사고 당시의 조건에 따라 우연적으로 발생한다.
└사고-원인은 필연적, 사고-손실은 우연적
③ 원인연계의 원칙 : 사고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고 원인은 대부분 복합적 연계원인이다.
④ 대책선정의 원칙 : 사고의 원인이나 불안전 요소가 발견되면 반드시 대책은 선정 실시
되어야 하며 대책선정이 가능하다.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 기법
1라운드 : 현상파악(사실을 파악하고,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한다)
2라운드 : 본질추구(잠재위험요인을 찾아낸다. 가장위험한 것을 합의하여 결정)==>문제점을 발견하고 중요문제결정
3라운드 : 대책수림(대책을 세운다. 보다 더 위험도가 높은 것에 대한 대책을 세운다)
4라운드 : 목표설정(행동계획을 정한다. 수립한 대책 가운데서 질이 높은 항목에 합의)
안전인증대상 방호장치
1. 과부하방지장치(양중기용)
2. 절연용 방호구 및 활선작업용 기구
3. 방호장치(프레스 및 전단기)
4. 방폭구조 전기기계 기구 및 부품
5. 파열판(압력용기 압력방출용)
6. 안전밸브(보일러 및 압력용기 압력방출용)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
① 금지표지 : 출입금지, 보행금지, 차량통행금지, 사용금지, 금연·화기금지, 물체이동금지 등
② 경고표지 : 인화성물질경고, 산화성물질경고, 폭발물경고, 독극물 경고, 부식성물질경고, 방사성물질경고, 고압전기경고, 매달린 물체경고, 낙하물경고, 고온경고, 저온경고, 몸균형상실경고, 위험장소경고 등
③ 지시표지 : 보안경 착용, 방독마스크 착용, 방진마스크 착용, 보안면 착용, 안전모 착용, 안전복 착용 등
④ 안내표지 : 녹십자표지, 응급구호표지, 들 것, 세안장치, 비상구, 좌측비상구, 우측비상구
T.B.M 활동의 5단계 추진법의 진행순서
도입→점검정비→작업지시→위험예지훈련→확인 (도입한후 이상있나 점검하고, 작업실시해 -위험 또 없나 확인하고끝)
제1단계 : 도입(직장체조, 무재해기원, 인사 안전연설, 목표제창)
제2단계 : 점검정비(건강, 복장, 보호구, 사용기기 등등)
제3단계 : 작업지시(금일 혹은 명일에 있을 작업 사항 간단하게 전달)
제4단계 : 위험예측(작업관련 위험에 관한 것을 예측)
제5단계 : 확인(위험에 대한 팀원의 확인 touch and call)
안전보건총괄책임지정 대상사업 기준
상시근로자 50명, 총 공사금액 20억원
안전대에서 안전블록이 부착된 와이어로프지름 : 4mm이상 (안 4)
추락방지대가 부착된 와이어로프지름 : 8mm이상 (추 8)
각 계층의 관리감독자들이 숙련된 안전관찰을 행할 수 있도록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안전관찰훈련기법은?
STOP 기법
STOP기법 (Safety Training Observation Program)
- 미국의 듀퐁에서 개발한 것으로 감독자를 대상으로 한 안전관찰 훈련 과정
- 각 계층의 관리감독자들이 숙련된 안전관찰을 행할 수 있도록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빨간색 - 금지경고-7.5R 4/14 -빨리 칠알 /사십사
노란색 - 경고 -5Y/8.5/12 오와이 팔쩜오12
파란색 - 지시 -2.5 PB 4/10 이쩜오 사십
녹색 - 안내 -2.5G/4/10 이쩜오 사십
검정 : N0.5
흰색 : N9.5
*일상점검내용
작업전 점검내용 : 방호장치 작동여부
작업중 점검내용 : 품질이상유무, 안전수칙의 준수여부, 이상소음 발생유무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 교육시간
1. 정기교육
1) 사무직 종사 근로자 : 매분기 3시간 이상
2) 사무직 종사 근로자 외의 근로자 : 판매업 근로자 매분기 3시간 이상/그외 매분기 6시간 이상
3) 관리감독자 : 연간 16시간 이상
2. 신규 채용시 교육
1)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2)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8시간 이상
3.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1)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2)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2시간 이상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공기압축기를 가동할 때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윤활유의상태
언로드밸브의 기능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사고예방대책 기본원리 5단계 (조사가 분시시) 조사가분이 시시해
1단계 : 조직
①경영층의 참여 ②안전관리자 임명 ③안전의 라인 및 참모조직 구성 ④안전활동 방침 및 계획 수립 ⑤조직을 통한 안전활동
2단계 : 사실의 발견
①사고 및 안전활동 기록 검토 ②작업분석 ③안전점검 및 안전진단 ④사고조사 ⑤안전회의 및 토의 ⑥근로자의 제안 및 여론조사 ⑦관찰 및 보고서의 연구 등을 토하여 불안전요소 발견
3단계 : 분석평가
①사고보고서 및 현장조사 ②사고기록 및 인적 물적 조건의 분석 ③작업공정 분석 ④교육 훈련 분석 등을 통하여 사고의 직접원인 및 간접원인을 규명
4단계 : 시정방법의 선정
①기술적 개선 ②인사조정(배치조정) ③교육 훈련의 개선 ④안전행정의 개선 ⑤규정 및 수칙 작업표준 제도의 개선 ⑥확인 및 통제체제 개선
5단계 : 시정책의 적용(3E 적용)
①기술적(engineering) ②교육적(education) ③단속적(enforcement)
답 무조건 외우자
*00등급 : 500V
*안전관리의 근본이념에 있어 그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사용자의 수용도 향상
*안전관리자 선임한 경우 14일 이내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서류 제출
*보호구 안전화 종류 아닌것 : 경화 안전화
*무재해운동 추진 3대기둥아닌것 : 노동조합의 협의체 구성
*공정안전자료 세부내용 :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본계획: 5년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상시근로자 20명 이상 50명 미만인 사업장 중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업종이 아닌 것은? (단,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가 선임되지 않은 사업장으로 한다.)---->>>>건설업
*안전보건관리규정 할 사업 종류 모두 고른것 : 과학,기술연구개발업 빼고 다 맞음 ㄱ.ㄴ.ㄷ.ㄹ
[[헷갈려!!]]
■안전인증대상기계:
프레스, 전단기, 크레인, 리프트, 압력용기, 롤러기, 사출성형기, 고소작업대, 곤돌라,국소배기장치(이동식X),원심기(산업용),롤러기(밀폐형X),사출성형기,고소작업대,컨베이어,산업용로봇
■자율인증대상기계
■ 5C
복장단정(Correnctness)
정리정돈(Clearance)
청소청결(Cleaning)
점검확인(Checking)
전심전력(Concentration)
■ 제1종 시설물
가. 고속철도 교량, 연장 500미터 이상의 도로 및 철도 교량
나.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터널, 연장 1000미터 이상의 도로 및 철도 터널
다. 갑문시설 및 연장 1000미터 이상의 방파제
라. 다목적댐, 발전용댐, 홍수전용댐 및 총저수용량 1천만톤 이상의 용수전용댐
마. 21층 이상 또는 연면적 5만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
바. 하구둑, 포용저수량 8천만톤 이상의 방조제
사. 광역상수도, 공업용수도, 1일 공급능력 3만톤 이상의 지방상수도
■타워크레인 지지
타워크레인은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 설치각도 수평면에서 60도이내, 지지점 4개소
'공부하는엄마 > 2024-건설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종정리] 건설안전기사-6과목 건설안전기술 (1) | 2024.02.15 |
|---|---|
|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 4과목 건설시공-문제외우기,핵심만정리 (1) | 2024.02.15 |
| [최종정리] 건설안전기사-5과목 건설재료학 -젤 취약한 부분 (1) | 2024.02.14 |
| [건안기]'안키(Anki)'로 이론요점정리하기.틈틈이 공부하는 법 (1) | 2024.01.31 |
| [건안기]24년 첫 자격증 시험은 건설안전기사! (2)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