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엄마/2024-건설안전기사

[최종정리]건설안전기사- 4과목 건설시공-문제외우기,핵심만정리

몬키키 2024. 2. 15. 00:28
반응형

 

[문제외우기, 핵심만]

 

내부코어시스템 가장 적당한 시스템 거푸집 :클라이밍폼

 

 

흙막이공법에 사용하는 지지공법이라 할 수 없는 공법

경사오픈컷 공법

 

정밀도가 우수한 순서
톱절단>전단절단>가스절단

 

포화된 느슨한 모래가 진동과 같은 동하중을 받으면 부피가 감소되어 간극수압이 상승하여 유효응력이 감소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액상화현상

 

개방잠함공법(Open caisson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는 침하가 잘되지 않는다.

 

1.지하 구조체의 바깥벽 밑에 끝날을 붙이고 지하구조체를 지상에서 구축하여 중앙하부 흙을 파내어 구조체의 자중으로 침하시키는 공법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2.소음발생이 적다.
3.실의 내부 중앙부분부터 판다.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서는 용기잠함 공법을 사용한다.

 

거푸집의 강도 및 강성에 대한 구조계산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동바리 자중

 

철근의 공작도(shop drawing) 작성요령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바닥판상세도는 바닥판끝선을 기준으로 보, 벽, 계단, 개구부 등의 위치를 명시한다

 

:바닥판 상세도는 기둥중심선을 기준으로 작은보·큰보의 중심선, 벽의 위치, 계단 시작부분, 개구부, 배관,shaft 등의 위치 명시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쌓기 틀린것

블록의 공동에 보강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다져넣기 때문에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보강블록쌓기는 통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다.

 

지질조사를 하는 지역의 지층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하는 토질주상도에 나타내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지내력

 

기초공사 시 활용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프리보링(preboring)공법

 

시험말뚝에 변형률계(strain gauge)와 가속도계(accelero meter)를 부착하여 말뚝항타에 의한 파형으로부터 지지력을 구하는 시험은?

동적재하시험

 

석공사에서 건식공법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긴결 철물과 채움 모르타르로 붙여 대는 것으로 외벽 공사 시 빗물이 스며들어 들뜸, 백화현상 등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건축 공사의 각종 분할도급의 장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공정별 분할도급은 후속공사를 다른 업자로 바꾸거나 후속공사 금액의 결정이 용이하다.

 

경량 콘크리트의 범주에 들지 않는 것은?

 AE콘크리트

 

토공사와 관련하여 신뢰성이 높은 현장시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흙의 투수시험

 

원심력 고강도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말뚝의 이음방법 중 가장 강성이 우수하고 안전하여 많이 사용하는 이음 방법은

용접식이음

 

석공사의 건식석재공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건식 석재 붙임에 사용되는 앵커볼트, 너트, 와셔 등은 주철제를 사용한다.

스테인레스제품(O)

 

된비빔 콘크리트는 진동다짐을 하지 않는다

 

 

 

기초상부 고름질 방법
1.전면 바름 방법
2.나중 채워넣기 중심 바름법
3.나중 채워넣기+자바름법
4.완전 나중 채워넣기 방법
 #나중매입공법

#고정매입공법

 

 

토공사의 현장시험
1.보링
2.딘월 샘플링
3.표준관입시험
4.베인테스트
5.평판재하시험

 

 

경량콘크리트의 종류
경량기포콘크리트,톱밥콘크리트,다공콘크리트,신더콘크리트,서모콘

 

토공기계 중 흙의 적재, 운반, 정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비로써 일반적으로 중거리 정지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장비는?


캐리올 스크레이퍼

 

밑창 콘크리트 지정공사에서 밑창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로 옳은 것은?(단,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정한 바가 없는 경우)


15MPa 이상

 

지하실 방수공법 중 바깥방수의 단점

바탕처리를 따로 만들어야 한다.

안방수에 비해 비용이 고가이다.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공기가 많이 소요된다.

#하자보수가 용이하다.->하자보수가 곤란함

 

보강 콘크리트 블록조 공사에서 원칙적으로 기초 및 테두리보에서 위층의 테두리보까지 잇지 않고 배근하는 것은?

세로근

 

모재표면위에 플럭스를 살포하여, 플러스 속에 용접봉을 꽂아 넣는 자동 아크용접은?

서브머지드 아크(Submerged arc) 용접

 

 

LOB(Line of Balance) 기법

반복작업에서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유지시키면서 그 생산성을 기울기로 하는 직선으로 각 반복작업의 진행을 표시하여 전체공사를 도식화하는 기법

LOB(Line of Balance):도표의 세로축은 단위작업의 수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공사기간을 나타낸다. 작업의 진행은 직선으로 표현하며 그 기울기는 단위작업 생산성이 된다.

 

거푸집 해체 시 확인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거푸집의 내공 치수

내공 치수란 터널 등에서 사용하는 복공 안쪽의 치수이다

 

보통콘크리트와 비교한 경량콘크리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건조수축이 작다.
건조수축이 크고, 다공질이다.

 

철근콘크리트 보강 블록공사에 관한 설명

:보강 블록조 쌓기에서 세로줄눈은 통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다.

블록을 쌓을 때 지나치게 물축이기하면 팽창수축으로 벽체에 균열이 생기기 쉬우므로, 접착면에 적당히 물축여 모르타르 경화강도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보강블록공사 시 철근은 굵은 것보다 가는 철근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벽체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철근콘크리트조의 테두리 보의 춤은 내력벽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슬라브 철근 배근을 많이 하는 순서
단변 주열대→단변 주간대→장변 주열대→장변 주간대

 

[Top Down(역타) 공법]
상방향, 하방향 양쪽 방향으로 공사가 가능하다.
② 지상 지하가 동시에 진행되므로,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③ 타 공법 대비 주변지반 및 인접건물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④ 소음 및 진동이 적어 도심지 공사로 적합하다.
 

철재 거푸집에서 사용되는 철물로 지주를 제거하지 않고 슬래브 거푸집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철물

>>드롭헤드(Drop Head)

 

바닥판 거푸집의 구조계산 시 고려해야하는 연직하중(굳.작.충)

굳지 않는 콘크리트 중량

작업하중

충격하중

 

 

어스앵커 공법

#인근구조물이나 지중매설물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앵커체가 각각의 구조체이므로 적용성이 좋다.

앵커에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흙막이벽의 변형을 방지하고 주변 지반의 침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구조물의 바닥과 기둥의 위치에 관계없이 앵커를 설치할 수도 있다.

 

 

크리프(Creep)의 증가원인


#단위 시멘트량이 적을경우

 

단면의 치수가 작을 경우
재하시기가 빠를 경우

재령이 짧을 경우

대기의 습도가 적을수록
다짐이 나쁠수록
응력이 클수록
대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물 시멘트비가 클수록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하여 푸집 붕괴사고 방지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검토・확인하여야 할 사항

#콘크리트의 강도 측정 -> 양생후 측정하기

 

콘크리트 측압 확인

조임철물 배치간격 검토

콘크리트의 단기 집중타설 여부 검토

 

네트워크 공정표의 주공정(Critical Path)에 관한 설명

 

TF가 0(Zero)인 작업주공정작업이라 한다

총 공기는 공사착수에서부터 공사완공까지의 소요시간의 합계이며, 최장시간이 소요되는 경로이다

주공정은 고정적이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가변적이다

 

#주공정에 대한 공기단축은 불가능하다.>>주공정을 대상으로 공기를 단축해나간다

 

콘크리트에서 사용하는 호칭강도의 정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발주 시 구입자가 지정하는 강도

 

철거작업 시 지중장애물 사전조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주변 공사장에 설치된 모든 계측기 확인

└철거 작업 시 사전 조사는 해체대상 구조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벽돌쌓기 시 사전준비에 관한 설명

즐기초, 연결보 및 바닥 콘크리트의 쌓기면은 작업 전에 청소하고, 우묵한 곳은 모르타르로 수평지게 고른다.

벽돌에 부착된 흙이나 먼지는 깨끗이 제거한다.

모르타르는 지정한 배합으로 하되 시멘트와 모래는 건비빔으로 하고, 사용할 때에는 쌓기에 지장이 없는 유동성이 확보되도록 물을 가하고 충분히 반죽하여 사용한다.


#콘크리트벽돌은 쌓기 직전에 충분한 물축임을 한다

붉은벽돌 : 벽돌쌓기전 충분한물축임
시멘트벽돌 : 쌓으면서 뿌리거나 쌓는벽 옆에서 뿌린다

 

콘크리트는 신속하게 운반하여 즉시 타설하고, 충분히 다져야 하는데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원칙적으로 얼마를 넘어서면 안 되는가? (단, 외기온도가 25℃ 이상일 경우)

 

1.5시간

 

두께 110mm의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275의 항복강도(fy) 기준값

235MPa 이상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①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② 시멘트의 강도를 크게 한다.
③ 폴리머(polymer)를 함침(含浸)한다

#골재의 입자분포를 가능한 한 균일 입자분포로 한다.

 

착공단계에서의 공사계획을 수립할 때 우선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현장 직원의 조직편성

예정 공정표의 작성
실행예산편성

 

#유지관리지침서의 변경

 

 흙막이 공법과 관련된 내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수평버팀대 공법: 흙막이벽을 설치하여 버팀대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공법
-어스앵커 공법: 널말뚝 후면부를 천공하고 인장재를 삽입하여 경질지반에 정착시킴으로써 흙막이널을 지지하는 공법
-지하연속벽 공법: 지반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굴착하고 그 속에 철근망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으로 콘크리트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공법

 

자립식공법 -안내벽

 

#인터록킹파이프는 지하연속벽 공법에 필요한 사항

 

동다짐 공법

시공시 지반진동에 의해 공해문제 발생

지반내에 암괴 등의 장애물이 있어도 적용 가능

특별한 약품이나 자재가 필요하지 않다-깊은 곳까지 지반개량 가능   
-시공 효율성이 높다
-시공시 지반진동에 의한 공해문제가 발생(소음/분진발생) 
-깊은 심도의 지반개량에 대해서는 초대형 장비가 필요        
-충격으로 인한 지반진동으로 주변 기존구조물에 영향을 미침

 

 

공사관리계약(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 방식의 장점

 

시공 시 단계별 시공법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 및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설계과정에서 설계가 시공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어 설계도서의 현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획 및 설계과정에서 발주자와 설계자간의 의견대립 없이 설계대안 및 특수공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대리인형 CM(CM for fee)방식은 공사비와 품질에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공사관리계약 방식이다.

 

CM for fee 방식 :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 수행, 설계 및 시공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업무로 약정된 보수만 수령

CM at Risk
방식 : 공사비와 품질에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공사관리계약 방식이다.
 

==============헷갈리는 부분===============================================

 

 

[말뚝]

*강재말뚝

자재의 이음 부위가 안전하여 소요길이의 조정이 자유롭다.

지중에서의 부식 우려가 높다.

상부구조물과의 결합이 용이하다.

#기성콘크리트말뚝에 비해 중량으로 운반이 쉽지 않다.

이미 굳어버린 콘크리트 말뚝 보단 철로 된 말뚝이 가볍습니다.

기성 콘크리트말뚝보다 균열/파손 위험이 적어 운반이 용이

*콘크리트 말뚝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의 종류
심플렉스 파일, 컴프레솔 파일, 페데스탈 파일, 어스드릴, 베노토 말뚝, 리버스서큘레이션, 프랭키 파일, 레이 몬드 파일,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CIP, PIP, MIP)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시공법 중 Earth Drill공법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좁은 장소에서는 작업이 어렵고 지하수가 없는 점성토에 부적합하다.

맞는답

-진동소음이 적음

-기계가 비교적 소형으로 굴착속도가 빠르다

-slime처리가 불확실하여 말뚝의 초기 침하 우려가 있음

 

 

강제 널말뚝(steel sheet pile) 공법

 

도심지에서는 소음, 진동 때문에 무진동 유압장비에 의해 실시해야 한다.

강제 널말뚝에는 U형, Z형, H형, 박스형 등이 있다.

타입 시에는 지반의 체적변형이 작아 항타가 쉽고 이음부를 볼트나 용접접합에 의해서 말뚝의 길이를 자유로이 늘일 수 있다.
시공이 용이, 차수성 우수, 공사비 저렴하다

단면형상이 다양, 재질이 균등하다.
전용회수가 높음

 

#비교적 연약지반이며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페데스탈 파일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중 외관과 내관의 2중관을 소정의 위치까지 박은 다음, 내관은 빼내고 관내의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내관을 넣어 다지며 외관을 서서히 빼 올리면서 콘크리트 구근을 만드는 말뚝

 

이코스파일 공법

지하 흙막이벽을 시공할 때 말뚝구멍을 하나 걸러 뚫고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다시 그 사이를 뚫어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말뚝을 만드는 공법

 

베노토공법: 케이싱튜브를 넣은 후 베노토 굴착기로 굴착후 철근망을 삽입한 후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캐이싱 튜브를 인발하는 공법
어스드릴공법: 끝이 뽀족한 강재 샤프트

기초굴착 방법 중 굴착 공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충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는 것

1.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 타설을 위한 굴착 방법의 일종. 끝에 날이 붙은 회전식 버킷을 갖는 어스드릴로 굴착
2. 굴착 구경은 최대 1.5m까지 (리머 장치인 경우는 최대 2.0m까지), 굴착 심도는 30m 정도 까지
3. 단단한 점성토의 지반에서는 흙탕물(벤토나이트액) 없이 온통 파기를 할 수 있다든지 굴착 속도가 빠르고, 공사비도 싸다는 장점
4. 미국의 칼웰드(calwelled)사가 개발하여 칼웰드 공법이라고도 한다.

 

R.C.D(리버스 서큘레이션 드릴)공법의 특징

저소음.저진동 공법

잔교 등에 의한 수상시공 가능

드릴파이프 직경보다 큰 호박돌이 있는경우 굴착이 불가능

시공속도가 빠르다

 

 

[폼]

1. 슬라이딩 폼 : 1일 5~10M수직시공가능. 수평.수직적으로 반복된 구조물을 시공이음 없이 균일한 형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요크, 로드, 유압잭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틑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시스템거푸집

시공오차 적고, 마감작업 동시에 진행
2. 클라이밍 폼 : 벽체용 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 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제작한 시스템 거푸집(갱폼+마감용 비계틀)
3. 플라잉 폼 = 테이블폼

바닥 전용 거푸집으로서 테이블 폼이라고도 부르며 거푸집판,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시스템 거푸집


4. 트래블링 폼  : 수평이동 거푸집이며 거푸집 전체를 그대로 떼어 다음장소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
                  해체 및 이동에 편리하도록 제작된 수평활동 거푸집으로서 쉘,아치,돔 같은 건축물에도 적용

                  터널, 교량, 지하철등에 주로 적용되는 거푸집

5.와플폼:

무량판구조 또는 평판구조에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커다란 팬의 공간확보 및 층고 낮출 수 있는 거푸집

6.

무폼타이 거푸집 ->무에타이는 삼각형 운동복을 입고 경기를 한다.

지하 합벽거푸집에서 측압에 대비하여 버팀대를 삼각형으로 일체화한 공법

 

7.갱폼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같은 양중장비가 필요

공사초기 제작기간이 길고 투자비가 큰 편이다.

경제적인 전용횟수는 30~40회 정도이다

 

8.터널폼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 및 슬래브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한다.

 

 

 

[일반적인 철근의 조립순서]

 

기벽보바계

기둥철근- 벽철근- 보철근- 바닥철근 -계단철근

 

철골공사의 경우 기둥-보-벽-슬래브 [기보벽슬]

 

[콘크리트 타설 순서]

 

*콘크리트 타설  기초-기둥 -벽 -계단-보-바닥판 (기벽계보바)

-> 기벽이 계보가 내려서 바닥에 콘크리트가 흘러내리네

 

 

3S system ->>표단전!

-작업의 표준화(Standardization)

-작업의 단순화(Simplification)

-작업의 전문화(Specialization)

 

 

개방잠함공법=오픈케이싱(Open caisson method)에 관한 설명

건물외부 작업이므로 기후의 영향을 덜 받는다

소음발생이 크다.

실의 내부 갓 둘레부분을 중앙 부분보다 먼저 판다.

지하 건축물을 지상에서 만들고 건축물의 하부를 굴착하여 침하시킨다.
지하와 지상공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지붕이 생기는 셈이므로 기후영향 덜 받을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서는 침하가 잘 되지 않는다.

 

측압에 대한문제는
3가지가 답이였음.
1. 기온이 낮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2. 투수성이 작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3. 철골 및 철근양이 적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1.클램쉘; 사질지반의 굴삭, 좁은 곳의 수직굴착
2.파워셔블;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의 굴착
3.드래그셔블(백호우);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낮은 곳의 굴착, 굴착력이 크다
4. 드래그라인 ;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낮은 곳의 굴착, 넓은범위 굴착, 힘이 강력하지 못함.

 

 

소규모 건축물의 구조기준에 따라 조적조로 담을 쌓을 경우 최대 높이 기준

3m 이하

 

ALC 블록공사

ALC 블록의 줄눈의 두께는 1~3mm

쌓기 모르타르는 교반기를 사용하여 배합하여, 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하루 쌓기 높이는 1.8m를 표준으로 하며, 최대 2.4m 이내로 한다.

연석되는 벽면의 일부를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떼어쌓기로 한다.

 

시공속도를 느리게 할수록 간접비는 증가되고, 빠르게 하면 간접비는 감소된다

 

 

모래지정
지반이 연약하고 2m 이내에 굳은 지층이 있을 때 그 연약층을 걷어내고 모래를 넣어 물다짐하는 지정

 

“슬래브 및 보의 밑면” 부재를 대상으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시험 할 경우 거푸집널의 해체가 가능한 콘크리트 압축 강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콘크리트표준시방서 기준)

설계기준압축강도의 2/3배 이상 또한, 최소 14MPa 이상

 

[벽돌공사]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모르타르는 벽돌강도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강도 이상

1일 쌓기 높이는 1.5m 이내 (ALC블록공사는 1.8M표준,최대 2.4m 이내)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이 구조적으로 우수하다

 

기초의 분류(Slab 형식에 의한 분류 : 얕은기초) -독복연온
독립기초
복합기초
연속기초
온통기초

 

* 지정의 형식에 의한 기초의 분류-직말피잠
  직접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잠함기초(케이슨 기초)

 

흙에 접하거나 옥외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로서 D16 이하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는?

   40mm

D16 이하 : 40mm

D25 이하 : 50mm
D29 이상 : 60mm

 

 

*철근콘크리트 구조물(5~6층)을 대상으로 한 벽, 지하외벽의 철근 고임대 및 간격재의 배치표준으로 옳은 것은?

상단은 보 밑에서 0.5m

중단은 상단에서 1.5m 이내
횡간격은 1.5m 정도
단부는 1.5m 이내
 

 

상단만 보밑에서 0.5m

 

내화피복의 공법과 재료(타조가 미를 내뿜는다) 타조미뿜

타설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조적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블록, 돌, 벽돌

미장공법 - 철망 모르타르, 펄라이트 모르타르

뿜칠공법 – 뿜칠 암면, 습식 뿜칠 암면, 뿜칠 모르타르

 

지하연속법 공법

차수성 우수.물막이벽체로도 가능 지수벽의 기능도 갖고 있다.

저소음.저진동공법.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임의형상치수가능

암반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반에 시공이 가능하다.

타공법에 비해 시공비가 비싸고, 수평연속성 부족,장비가 크고 이동이 느림


#
흙막이벽의 강성이 적어 보강재를 필요로 한다.>강성이 커서 보강재 필요없음

 

 

벽돌공사 중 벽돌쌓기에 관한 설명
 

가로 및 세로줄눈의 너비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10mm를 표준으로 한다.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벽돌은 각부를 가급적 동일한 높이로 쌓아 올라가고, 벽면의 일부 또는 국부적으로 높게 쌓지 않는다.

하루쌓기 높이는 최소 1.2m, 최대 1.5m

세로줄눈은 통줄눈이 되지 않도록한다. 세로눈은 막힌줄눈이 되도록 한다.

공사시방서에 정한바 업을때 화란, 영식쌓기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수법 7가지 도구(TOOLS)

 

히스토그램-분포도

파레토그램-영향도

특성요인도-원인결과도

체크시트-집중도

산점도-상관도

층별-부분집단도

 

강구조부재의 내화피복공법 (강구조 조세타)

조적공법

세라믹울 피복공법

타설공법

 

>메탈라스공법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공법 중 하나

 

 

단순조적 블록공사 시 방수 및 방습처리

 

방습층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마루밑이나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접근되는 수평줄눈의 위치에 둔다.

물빼기 구멍은 콘크리트의 윗면에 두거나 물끊기 및 방습층 등의 바로 위에 둔다.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 물빼기 구멍의 직경은 10mm 이내, 간격 1.2m 마다 1개소로 한다.

물빼기 구멍에는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직경 6mm, 길이 100mm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튜브를 만들어 집어넣는다.

 

[철골공사의 내화피복공법]

습식공법:타설공법, 뿜칠공법, 미장공법, 조적공법
건식공법:성형판 공법

목재의 방부처리법 : 약제도포법, 침지법, 표면 탄화법, 생리적 주입법

 

말뚝의 연직도 경사도 1/50 ,말뚜박기후 평면상의 위치가 설계도면의 위치로부터 D/4와 100MM 중 

큰값 이상으로 벗어나지 않아야한다.

 

 

철골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접불량

 

[용접불량의 종류]
① Slag Inclusions (슬래그혼입) = Slag가 완전히 부상하지 못하고 용착금속속에 섞혀있는 상태로서 용접부를 취약하게 하며, Creak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된다.
② Porosity (기공 : Blow hole) = 용접부에 작은 구멍이 산재되어 있는 형태로서 가장 취약적인 상황으로 용접부를 완전 제거한후 재용접하여야 한다.
③ Under Cut (언더컷) = 용접의 변끝을 따라 모재가 파여지고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아있는 부분
④ Over lap (오버랩) = 용착금속이 변끝에서 모재에 융합되지 않고 겹친부분
Pit (피트) = Blow hole이나 용융금속이 튀는 현상이 발생한 결과 용접부의 바깥면에서 나타나는 작고 오목한 구멍
⑥ Spatter (스펠트) = 용융금속중의 일부입자가 모재로 이행하면서 용접부를 이탈해 용착되는 용융방울로서 사용되는 Sheilding Gas의 종류에 따라 발생정도가 달라진다.
⑦ Cracking (크랙킹) = 용착금속이 냉각후 실모양의 균열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서 열간 및 냉간균열이 있다.
⑧ Incomplete Fusion (용입불량) = 모재의 어느 한부분이 완전히 용착되지 못하고 남았는 현상

 

#가우징 - 금속판의 뒷면 깎기. 용접결함부의 제거 등을 위해 금속표면에 골을 파는 것

 

#Scallop(스캘럽)
용접선의 교차로 인한 열영향을 피하기 위해 한 쪽의 부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 것

 

미장공법, 뿜칠공법을 통한 강구조부재의 내화피복 시공 시 시공면적 얼마 당 1개소 단위로 핀 등을 이용하여 두께를 확인하여야 하는가?


5m2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없다.

 

조적식구조에서 조적식구조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최대 바닥면적은 얼마인가?

80m2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 기본 배합 콘크리트인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 기준은? (단,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150mm 이하

 

기초에 관한 설명

 

1. 기둥 1개기초판이 1개인 기초 → 독립기초

2.복합기초 : 2개 이상의 기둥1개의 기초판으로 받치게 한 기초
3. 조직조의 벽을 지지하는 하부 기초 → 연속기초
4. 건물 하부 전체 또는 지하실 전체를 기초판으로 구성한 기초 → 온통기초
 

 

 

반응형